코스피

2,705.32

  • 4.15
  • 0.15%
코스닥

868.36

  • 3.65
  • 0.42%
1/2

막 오른 '마이데이터 사업'…17개 증권사 '눈치싸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막 오른 `마이데이터 사업`…17개 증권사 `눈치싸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본인신용정보관리업 이른바 `마이데이터 사업`이 다음달 본격 도입된다. 사업 시행이 얼마 남지 않으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증권사들의 눈치싸움도 치열해지고 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다음달 5일 `마이데이터 사업`에 대한 법률안을 발표하면서 각 금융사별로 `마이데이터 사업`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5월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을 희망하는 업체에 대해 사전수요 조사를 했는데, 총 119개업체가 희망했다. 이 가운데 증권사는 17개가 손을 든 것으로 알려졌다.

개별 증권사로는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 대형 증권사는 물론, 하나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 메리츠증권, 교보증권, 하이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중소형 증권도 `마이데이터 사업` 사전 신청서를 냈다.

다른 업권과 마찬가지로 증권업계가 출사표를 던진 것은 `마이데이터 사업`이 새 먹거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각 금융회사와 공공기관 등에 흩어진 각종 금융정보를 일괄 수집해 금융소비자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고, 기업은 이를 활용해 투자고객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모델이다. 쉽게 말해 금융소비자는 자신의 데이터를 스스로 통제하고 활용할 수 있고, 증권사는 금융정보를 기반으로 한 투자자문이나 투자일임 등 사업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이데이터 사업` 접수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증권사들은 전담 부서를 꾸려 사업 인허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와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은 마이데이터 사업추진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거나 업구 관련 담당 부서에서 전담해 추진하고 있다.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인 신한금융투자와 하나금융투자의 경우 금융그룹 차원에서 `마이데이터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신한금융투자는 금융그룹 내 공동 데이터 신사업 전략 컨설팅을 통해 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고, 하나금융투자 역시 금융그룹 내 데이터 전략부서를 신설해 사업 인허가 준비에 나서고 있다.

이 외에도 교보증권과 대신증권, 키움증권, 하이투자증권 등 중소형 증권사 역시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거나 부서간 협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처럼 증권사들은 `마이데이터 사업` 인허가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지만,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구체적인 서비스는 밝히지 않고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 성패의 핵심이 차별화된 특화 서비스인 만큼, 다른 증권사의 동향을 파악하는 소위 `눈치싸움`이 한창인 것이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고객들의 자산관리, 자문, 일임 등 일반적인 것 외에 어떤 특화 서비스를 할 건지가 다들 고민"이라며 "다들 다른 증권사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눈치를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국, 어느 증권사가 확실한 특화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지가 승부의 가늠자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