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17년 `역대급` 유엔 대북제재 결의를 위해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들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나를 미쳤다고 생각하게 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11일(현지시간)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초대 유엔대사를 지낸 니키 헤일리 전 대사는 이날 발간한 회고록 `외람된 말이지만`(With all due respect)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회원국들)에게 방금 나(대통령)와 얘기했고 (군사옵션을 포함한)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전하라`고 말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중국과 러시아의 대북제재 동의를 얻어내기 위해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이 고안한 이른바 `미치광이 전략(madman theory)`을 일부러 구사했다는 것이다.
앞서 북한은 2017년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 15형`을 발사했고, 유엔 안보리는 그해 12월 역대 최고 강도의 대북제재 결의를 만장일치로 결의한 바 있다.
중국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한반도 위기를 피하도록 하겠다는 논리로 협상력을 높일 수 있었다고 전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김정은 정권의 몰락은 북한 주민의 집단 탈출과 중국 유입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중국에 이런 위험은 매우 컸다"고 부연했다.
러시아에 대해선 "우리는 먼저 중국과 합의한 후 러시아에는 `이런 식으로 가면 러시아만 김정은 정권과 손을 잡는 처지가 돼 국제적 왕따가 될 것`이라고 은근히 압박했다"면서 이런 작전이 먹혀 들여 대북제재가 만장일치로 통과됐다고 서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미치광이를 다루는 위험에 대해서라면, 문제는 그쪽(김정은)이지 내가 아니다"라고도 언급했다고 헤일리 전 대사는 전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도발적인 발언이 많은 비판을 받았으나 사실 나로서는 `최대의 압박` 전략에 실제로 도움이 됐다"며 "이는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말하는 `미치광이 전략`이었다"고 설명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겨냥해 `화염과 분노`, `완전 파괴` 등의 언어를 사용하며 한반도의 긴장을 최고수위로 끌어올렸다.
특히 2017년 9월 유엔총회 연설을 앞두고서는 "김정은을 `로켓맨`이라고 부르는 게 어떻겠냐"고 본인에게 묻기도 했다고 헤일리 전 대사는 전했다.
이에 헤일리 전 대사는 "유엔총회는 교회와 같은 곳이니 하고 싶으면 하라. 어떤 반응이 나올지는 모르겠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헤일리 전 대사는 북한의 인권 실상도 폭로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가족을 포함해 자신의 정적을 숙청함으로써 권력을 공고히 했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권 초반 6년 동안 처형한 숫자가 300명을 훨씬 넘는다"고 말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또 "김정은 체제에서는 완전한 감시와 규제를 통해 바깥세상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한다"며 "휴대전화는 폐쇄적인 북한판 인터넷으로 막아 놨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체제 비판을 하거나 금지된 책이나 언론을 볼 경우 강제 수용소로 보내 고문을 하거나 굶겨 죽이고, 또 죽을 때까지 노동을 시킨다"며 "유엔은 수십만명이 김정은 독재체제의 수용소에서 죽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수용소에서는 강제 낙태를 시키거나 출산한 아이는 살해하기도 하며, 성경을 소지할 경우에도 갇힌다는 게 헤일리 전 대사의 전언이다.
헤일리 전 대사는 또 북한에 억류됐다가 2017년 미국에 송환된 지 6일 만에 사망한 오토 웜비어 사건을 통해서도 북한의 인권 실상을 공개했다.
그는 "들것에 고정된 채 비행기 계단을 통해 옮겨진 웜비어를 아버지가 허리를 숙여 끌어안았지만, 의식을 차리지 못했다"며 "웜비어는 눈을 뜨고 있었지만 아무것도 볼 수 없었고, 귀도 들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웜비어의 귀환을 강하게 요구해 성사됐지만, 키 크고, 사랑스럽고, 재주가 많았던 웜비어는 결국 사망했다"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