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증권사 진출로 주목을 받던 토스와 카카오가 인허가 문턱에서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기본 요건인 자본과 대주주 불확실성이 발목을 잡고 있어 인허가가 이후에도 기대하던 '메기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이민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IT기업들이 야심 차게 증권사 진출을 시도했지만 기본 요건 부족으로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신생 증권사 메기 효과에도 의문 부호가 제기됩니다.
토스 대주주 인 비바리퍼블리카의 이승건 대표가 증권사 인허가에 금융감독원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인다며 포기 의사를 내비치자 금감원은 곧바로 "무리한 요구가 아니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논란이 되는 건 비바리퍼블리카 자본금 75%가 상환전환우선주(RCPS)란 점인데, 재무적 투자자(FI)가 투자 금을 회수하면 안정성 차원에서 불안하단 겁니다.
벤처 기업 생태계를 이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금융에서 자본 안정이 기본 요건이란 점에서 보완이 필요하단 의견이 우세합니다.
또 카카오가 공들이고 있는 바로투자증권의 경우,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공정 거래법 위반 혐의 관련 재판으로 대주주 적격 차원에서 절차가 잠정 중단됐습니다.
금융위는 2심 재판까지 심사를 미룰 예정인데, 진행 상황에 따라 무기한으로 연기도 가능합니다.
일각에선 불확실성이 줄었단 의견도 있지만 더 큰 변수가 있을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주목을 받던 두 기업 모두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허가 이후에도 기본 요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여기에 기대했던 메기 효과마저 불안하단 지적입니다.
수수료 무료 등의 출혈 경쟁을 고금리 주식담보대출 등으로 메우는 방식의 기존 브로커리지 중심 증권사 영업 관행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의문이란 겁니다.
전문가들은 IT 기술을 앞세운 증권사가 기존 증권사와 차별 점을 찾지 못하면 생존과 더불어 금융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한편, 금융당국이 앞서 하나의 금융 그룹이 여러 개의 증권사를 설립할 수 있도록 '1그룹 1증권사'를 폐지하고 증권사 인허가 제도도 손질하는 등 대폭 개선에 나서면서 금융투자업계 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