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50%를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두 가구 중 한 가구는 아파트에 사는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 수는 1,001만3천가구로, 전체(1,997만9천가구)의 50.1%를 차지했다.
지난 2017년 967만1천가구(49.2%)보다 34만2천가구(1.0%) 늘었다.
이는 통계청이 인구주택총조사 주택 부문 `공동주택` 분류에서 아파트를 별도 분리해 집계하기 시작한 1975년 이래 43년 만에 처음이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지난해 준공, 입주한 새 아파트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아파트는 45만1000호 늘었다.
같은 기간 아파트에 이어 거주 비중이 두 번째로 큰 단독주택 거주 가구 수는 641만5천가구(32.1%)로 13만4천가구(1.2%) 줄었다.
연립·다세대는 231만2천가구로 4만3천가구(0.0%) 늘었다.
주택 이외 거처는 6만2천가구(0.2%) 증가했고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은 8천가구(0.1%)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세종의 아파트 거주 가구 비율이 73.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광주(65.5%), 울산(58.8%), 경기(56.9%)가 뒤를 이었다.
특히, 30세 이상 가구주부터 아파트 거주 비율이 절대적이다.
30~39세 가구주는 56.8%가, 40~49세는 62.3%가, 50~59세는 53.9%가, 60~69세는 45.9%가, 70세 이상은 36.5%가 아파트에 살고 있다.
20세 미만과 20~29세는 다가구 거주 비중이 높아 아파트는 각각 14.4%, 24.4%에 그쳤다.
지난해 한국의 주택 수는 1,763만3천호로 지난 2017년 1,712만3천호보다 51만1천호(3.0%) 증가했다.
이중 아파트가 45만1천호 늘어 주택 수 증가를 이끌었다.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은 52만4천호(4.0%) 늘었고 단독주택은 1만4천호(0.4%)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