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북한 개방 기대감…북중 접경도시 '들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중국이 북한의 개혁개방에 대비해 북중 접경의 거점도시들을 중심으로 정비작업을 착착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중 접경의 서쪽 끝이자 압록강 하구인 랴오닝성 단둥(丹東), 압록강 중류인 내륙의 지린성 지안(集安), 두만강 상류인 지린성 투먼(圖們), 접경의 동쪽끝이자 두만강 하구인 지린성 훈춘(琿春) 등 북중 교역 거점의 인프라를 확충하고 통상시설 등급도 상향 조정하고 있는 것이다.

북미간 대화 진전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 완화가 선순환 궤도에 오르고 북중간 경제협력 합의가 이뤄질 경우, 즉시 행동에 나설 수 있도록 통상구(口岸·커우안)를 정비·승격하고 개발계획을 마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우선 항만과 철도, 도로를 모두 갖춰 북중 교역 물량의 70~80%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둥은 중국이 지난 9월 명시적으로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와의 연계계획을 밝힌 곳이다.

중국 랴오닝성 정부는 당시 북한-한국-일본-몽골을 아우르는 `동북아 경제 회랑`을 조성해 이 지역을 `공동 운명체`로 묶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단둥-평양-서울-부산 간 철도와 도로, 통신망을 연결하고, 단둥 지역에서는 특구(特區) 조성과 황금평·호시(互市) 무역구 활용 등에 나서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2014년 완공 후 미개통 상태인 단둥-신의주간 신압록강대교 개통을 위해 중국 측이 북한측 연결도로 정비에 6억 위안(약 1천억원) 지원을 제안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중국은 러시아,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두만강 하구의 훈춘에서 북중 교역을 담당하는 사퉈쯔(沙토子) 육로 통상구를 지난달 국가급(1급)으로 승격했다.

중국에서 `커우안`으로 불리는 통상구는 세관과 시장의 기능을 겸하는 국경 통로구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국가급(1급)과 성(省)급(2급)으로 구분된다.

훈춘시에서 11km 정도 떨어져 있는 사퉈쯔는 강 건너 북한의 함경북도 경원군 통상구와 연결된 곳으로, 화물처리능력은 연간 10만t 정도로 평가된다.

지린성 정부가 "통상구가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만큼 1930년대 지어진 북중간 교량을 새롭게 건설하는 방안이 힘을 얻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 훈춘 부근의 투먼(圖們)에서는 투먼과 북한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구를 잇는 국경다리가 건설 중이다.

압록강 중류 내륙인 지안에서도 준비작업이 활발하다. 중국 정부는 이번 달 지안의 대북 육로(도로)통상구를 국가급으로 승격했다.

지린성 상무청은 "지안 통상구가 북중 국경 가운데 부지면적과 건설 규모 면에서 최대이고 통관 속도 면에서 가장 효율적일 것"이라면서 "(북한 등) 남쪽 개방에 중요한 창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접경지역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중국 정부가 러시아, 중국, 몽골을 잇는 경제 회랑에 (지안을 고리로) 한반도를 연계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면서 "지안 통상구에 내륙항을 형성해 북한과의 물동량을 확대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지안-퉁화(通化)간 고속도로 등을 이용해 지린성의 화물을 지안에 모아 북한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려는 계획이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2013년 본체 완공 후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아직 미개통 상태인 지안-만포간 대교의 개통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이 소식통은 평가했다.

왕성(王生) 지린대 행정학원 교수는 최근 한 포럼에서 "중국이 (서쪽 진출이 기본인) 일대일로를 동쪽으로도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이 과정에서 일본·한국의 자본·기술 및 북한의 지정학적 위치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인중이(殷仲義) 중국 해남 개혁발전연구원 원장고문은 또 다른 좌담회에서 "북한이 경제발전에 매진하면 북한의 소비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면서 "(북한의) 질 좋은 대규모 노동력이 중국 동북지역에 일자리를 찾아 나올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내년 북중 수교 70주년을 앞두고 양측이 우호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것도 내년 북중 경제 협력 및 교류 확대를 주목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다만 북한의 대외개방과 북중 경제협력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려면 북미간 핵 담판 진전과 미국과 유엔 안보리 등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완화가 필수적인 만큼 넘어야 할 산이 매우 높고도 많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디지털뉴스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