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침대 보다 집이 더 문제"… 커지는 라돈 공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집도 라돈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상황이 이런데도 관련법 규정은 전혀 없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지효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인터넷에 '라돈'을 검색하자 라돈측정기를 구하는 게시글이 쏟아집니다.

9만대 넘게 팔린 침대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되자, 소비자들이 직접 조사에 나선 겁니다.

실제로 라돈 침대 피해자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재원 / 강원도 원주시

"나중에 암 걸려서 죽을까 무섭고, 일단 방사능 물질이잖아요. 방사능 피폭돼서 아픈 사람들 보면 무서워요.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그렇고."

<인터뷰> 박하은 / 강원도 원주시

"엄마가 기숙사 침대도 확인해봐야 되는 거 아니냐고 하시고 …임신도 못한다고 하고 몸에도 안좋다고 하고 저 애기 많이 낳고 싶거든요."

라돈은 침대를 비롯해 일부 화장품, 목욕용품에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가장 큰 문제는 집입니다.

천장, 내벽에 쓰이는 석고보드 등 건축 자재에서 방사능 물질이 붕괴하면서 라돈 가스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토양이나 암석에 섞여 있는 라돈이 건물 바닥, 벽 등의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결국 집 자체가 라돈에 노출돼 있는 셈이지만, 우리나라는 규제할 법 자체가 없습니다.

<인터뷰> 조승연 / 연세대학교 라돈안전센터장

"집에서 고유하게 나오는 오염물은 라돈 밖에 없습니다. 지역이나 집에 땅값이나 집값에 영향을 미칠까봐 쉬쉬하는 경향이 강했죠. 가령 미국은 집을 사고 팔 때 라돈 농도를 밝히게 돼 있습니다 제도상."

세계보건기구, WHO는 실내 공기 중 라돈이 100Bq/㎥을 넘지 않도록 권고합니다.

수치가 낮을 수록 엄격한데 한국의 기준은 200Bq/㎥, 이 마저도 가이드라인 수준이라 강제할 방법은 없습니다.

올해부터 환경부에서 라돈 농도 측정을 의무화 했지만, 측정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기준치를 넘어도 관리가 안되는 상황.

실내 라돈의 위험성이 그동안 간과돼 온 만큼, 관할 기관의 제대로 된 원인 조사와 함께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