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19차 중국 공산당 당대회 개최를 계기로 중국이 환경규제를 대폭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 국내 업종별로 희비가 교차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기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진핑 체제 2기의 핵심 기조는 환경규제 강화입니다.
그동안 중국 당국은 환경규제 일환으로 오염 배출 공장의 가동 중단을 시키는 제재를 해왔는데 이 조치를 더욱 확대한다는 겁니다.
현지에 진출한 자동차 부품 업계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각종 공정이 환경 규제와 맞닿아 있는 만큼 환경 설비 개선 투자와 가동 중단 등으로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드 보복으로 판매 급감과 부품업체 납품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다 간신히 회복세로 들어선 시기에 찬물을 끼얹은 셈입니다.
<인터뷰> 신해진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소장
"용접, 주물 같은 공정이 있는 회사에 대한 단속이 많았다고 알고 있어요. 주로 자동차 부품 쪽에 해당이 많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석유 화학 업계는 중국 환경규제 강화 방침으로 호재를 맞았습니다.
중국의
환경규제 정책에 따라 석탄 생산량이 줄었고,
석탄 가격이 뛰어 오르면서 석탄을 원료로 PVC를 만드는 중국 업체들은 생산량을 줄였습니다.
중국산 PVC 등 기초소재 제품 공급의 감소로 제품 가격이 올랐는데, 그 몫을 고스란히 한국 기업들이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LG화학과 롯데 케미칼, 한화케미칼 등은 실적 개선 기회를 맞았습니다.
<인터뷰> 이
충재 KTB 투자증권 연구원
"(중국)환경규제가 강화돼서 신규 설비 증설로 비용이 늘어난다거나 정부 허가가 강화되고 하면 전 세계 화학 쪽 수급은 더욱 타이트해 질 것이기 때문에 중국 환경규제는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체들에게는 무조건 이익이죠."
중국 환경규제 방침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의 희비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반기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