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소방대원 2명이 목숨 걸고 지킨 석란정이 창고였다니"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소방대원 2명이 목숨 걸고 지킨 석란정이 창고였다니"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순직 소방관 2명이 목숨을 걸고 지킨 비지정 문화재 `석란정`이 십수 년째 관리인의 창고로 쓰인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강릉경찰서는 화재와 붕괴 참사가 난 석란정은 관리인 A(78)씨가 십수 년 전부터 개인 창고로 사용한 것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강릉시 강문동 경포 해변 동쪽 송림 인근에 있는 석란정은 1955년 갑인생 모임 계원 21명이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에는 토지 소유권이 이전되고 현재는 그 후손들에 의해 건축물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석란정은 일반 정자와 달리 방과 마루를 갖추고 사방이 막힌 독특한 정자 형태다. 인근의 `창랑정`도 유사한 구조다.

경포호 주변에는 `경포대(鏡浦臺·강원유형문화재 6호)`를 비롯해 10여 개의 누정이 있다.

이 중 경포대, 호해정, 방해정, 금난정 등은 지정문화재이지만 석란정과 창랑정 등 나머지는 비지정 문화재다.

강릉시는 2008년 당시 건축된 지 52년 된 석란정을 `비지정 문화재` 관리 목록에 포함했다.

현재 `예향의 도시` 강릉지역에만 이 같은 비지정 문화재가 361곳에 달한다.

강릉시는 비지정 문화재 관리를 위해 연간 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강릉시 관계자는 "전통 양식으로 지어진 건축물은 시간이 흐르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될 수 있어서 비지정 문화재로 관리하고 있다"며 "석란정도 이 같은 이유로 목록에 올렸지만, 별도로 지원된 예산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석란정과 같은 비지정 문화재는 대부분 건축물대장이 없는 사실상 무허가 건물이다.

이 때문에 화재와 안전은 매우 취약하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