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정부가 최저임금 인상과 정규직 전환 등 파격적인 일자리 정책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있는 직원도 줄여야 할 상황에서 사람을 더 채용하고 비정규직 전환을 어떻게 추진하라는 것인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박준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정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비정규직으로 독극성 시험을 담당하는 A씨.
내년에는 정규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A씨처럼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종사자들이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됩니다.
사무보조원과 취업알선 상담원 등 기간제 근로자와 환경미화, 청사관리 안전을 책임지는 파견·용역 근로자가 전환 대상자 입니다.
이들 31만여명 중 앞으로 2년 이상, 1년 중 9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근무하게 될 인력은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바뀌게 됩니다.
정부는 공공부문이 정규직 전환에 앞장서면 민간 기업이 동참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반면 기업의 상황은 만만치 않습니다.
현재 기업에서 근무하는 용역·파견 근로자와 기간제 근로자는 180만명 이상. 전체 인력의 40%를 차지합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급등에도 불구하고 신규 채용을 늘리라는 정부의 직접적인 주문을 받은지 불과 며칠 만에 이들의 정규직 전환이라는 숙제까지 떠안은 셈입니다.
정부에서도 기업의 상황을 인식하고 정규직 전환의 지원금을 약속했지만 턱없이 부족한 수준에 불과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속도 조절의 필요성을 언급할 만큼 새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업에게 거센 후폭풍과 충격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