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한·중 관계 급속냉각, 수출주가 안전하다.

관련종목

2024-12-11 16:44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증시 라인 11]

    - 앵커 : 김동환 경제 칼럼니스트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객원연구위원

    - 출연 : 홍춘욱 키움증권 이코노미스트



    최근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충격을 받은 직접적인 이유는 중국의 보복이 점차 비합리적인 면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의 한국 방문을 전면 제한하고 더 나아가 한국상품에 대한 수입을 억제하는 행동은 한국경제뿐만 아니라 중국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내에서 국가별 시장 점유율 변화를 살펴 보면 2012년을 전후로 일본의 시장 점유율이 7~8%까지 하락(기존 15~18%)했으며, 이후 현재까지 일본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반등하지 않고 있다. 2012년 말부터 아베노믹스가 시작되면서 일본경제가 개선되었으나 중국시장 내 점유율은 변화가 없는 것이다. 이는 2010년부터 3년 동안 진행된 히토류에 대한 수출입 금지로 인해 중국에 진출한 일본기업들이 다져놨던 중국시장에서의 지위를 버리고 새출발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과거 사례만 살펴 보더라도 한국에 대한 중국의 비합리적인 규제는 중국경기에 피해를 줄 수 밖에 없다.

    또한 현재 7명의 중앙상무위원 중 5명의 인선이 결정되는 2017년 제 19차 당 대회를 앞두고 다시 한국과 대만이 새로운 공격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2017년 10월에 열리는 당 대회까지 한국의 대중 소비재 수출은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한국산 중간재와 자본재의 비중을 줄이기는 힘들 것이다. 한국의 대중 수출에서 중간재와 자본재의 비중은 93%에 이르는 반면 소비재의 비중은 7%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중 수출이 자본재와 중간재에 편중되어 있는 이유는 중국이 선진국을 향한 일종의 가공/조립 기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중 수출 상품의 상당수가 최종 목적지로 선진국 소비자를 두고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대일 수입 비중이 급감하고 2016년 이후 대만에 대해서도 무역제재의 칼날을 휘두르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국산 중간재/소비재 비중을 급격히 줄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대 한국 무역제재의 피해는 소비재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 증시라인 11, 평일 오전 11시 LIVE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