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기업 19곳이 퇴출되고, 13곳은 채권단 주도의 기업개선작업, 워크아웃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정작 부실 덩어리로 전락한
대우조선해양이 구조조정 대상에서 빠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민수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이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대기업 32곳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퇴출이 결정된 19곳은 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13곳은 채권단 주도의 기업개선작업, 워크아웃에 들어갑니다.
지난해 두번의 평가를 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조정 기업 수는 줄었지만,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포함되면서 전체적인 자산과 신용공여액은 크게 늘었습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인 17곳이 조선ㆍ해운ㆍ건설ㆍ철강ㆍ석유화학 등 취약업종에서 나왔습니다.
특히 그동안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었던 전자업종도 5곳이 퇴출되면서, 새롭게 밀착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구조조정 대상에 조선 빅3가 빠지면서, 형평성 논란과 함께 그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3조원 적자를 기록했고, 부채비율은 7천%를 넘을 정도로 부실 덩어리로 전락한 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지원 의지만으로 구조조정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또 다시 `대마불사` 논란에 불을 지폈습니다.
뒷북 구조조정을 하는 판에 형평성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내년 대선을 앞두고 벌써 구조조정의 칼날이 무뎌졌다는 평가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한편에서는 주요 정책의 결정 권한이 사실상 국회로 넘어가면서, 정부의 구조조정 동력이 힘을 잃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민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