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댓글多뉴스] '수능 한 방'도 옛말...정시 선발 반 토막, 네티즌 "수시만 없어져도 원서비 50만 원 아낀다"

관련종목

2024-06-16 19:50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댓글多뉴스] `수능 한 방`도 옛말...정시 선발 반 토막, 네티즌 "수시만 없어져도 원서비 50만 원 아낀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 출처 - Flicker


    2016년도 전국 4년제 대학 신입생 정시 전형으로 뽑는 선발 인원은 11만 6,162명으로 알려졌다. 4년제 대학 전체 모집 인원은 35만7천 여명으로 정시 전형의 선발 비중은 32.5%다.

    정시 전형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 위주의 선발 전형이다. 나머지 67.5%는 고교 내신 성적이나 비교과 활동 평가, 대학별 논술·면접 등을 거치는 `수시 전형`으로 뽑는다.

    네티즌은 "사교육 시장 비용이 가장 적었던 시기는 수시가 20% 이하의 1994~2005 시기", "기준 모호한 입학사정관 싹 다 없애고 수능 위주와 논술 위주로만 뽑아라", "결국 입시 사업에 돈쓰게 만들고 부유층 고착화", "수능을 통한 정시가 입시에서 가장 객관적이고 공정하다" 등의 반응을 보인다.


    사진 출처 -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5420 target=_blank>NAVER</a> 캡처


    전체 대입 모집 인원 중 정시 선발 비율은 2002년 이후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과거 정시와 수시 선발 비율이 7대 3 정도였지만, 이젠 3 대 7 정도로 역전됐다.

    수시가 확대되는 게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여주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수시 모집을 위해 내신 성적은 물론, `스펙` 위주의 학창 시절을 보내게 된다는 것이다. 정시 모집이 줄자 수험생 입장에서는 내신 성적이 좋지 않거나, 스펙을 쌓지 못한 학생들의 `수능 한 방`이 어려워져 패자부활의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는 불만도 섞여 나온다.
     
    한편, 이처럼 대학들이 정시 선발 비중을 계속 줄이는 것은 최근 이어진 `물수능` 탓이라는 분석이 많다. 정부가 `쉬운 수능` 정책을 펴자 대학들이 수능 점수만으로 학생을 뽑기 힘들다고 판단해 수시 비중을 더 높인 것이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