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대전 500년 미라 발견', 울산 영축사지 고려 유물 출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전 500년 미라 발견`, 울산 영축사지 고려 유물 출토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대전 시립박물관)


`대전 500년 미라 발견`, 울산 영축사지 고려 유물 출토

울산 영축사지 고려 유물 출토 소식이 SNS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울산박물관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유물은 청동향로, 청동시루, 청동완(盌, 사발) 등 고려 시대 청동유물로 알려졌다.

울산 영축사지 고려 유물 출토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대전에서는 500년 전 미라가 발견됐다.

대전시립박물관은 지난해 "서구 갈마아파트 뒷산 단양우씨 세장지에서 조선시대 중종대 인물인 우백기의 미라와 함께 출토된 의복을 수습했다"고 밝힌 바 있다.

미라가 발견된 곳은 조선시대부터 단양 우씨들의 세장지였다. 그러나 도시개발 때문에 대부분의 묘소가 오래전 이장됐다. 마지막 남은 1기 묘소를 옮기던 과정서 미라가 출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장자인 우백기는 우세건(1497~1529)의 넷째 아들이다.

한편, 강원 정선군 북평면 나전역이 1960년대 시절로 완벽히 복원됐다.

정선군은 지난 4월 나전역 복원공사 개관식을 열고, 추억이 담긴 간이 역사를 공개했다.

나전역은 1969년 문을 열었지만, 1989년 나전광업소가 사라지면서 이용객이 급감했다. 결국, 1993년 역무원 없는 간이역이 됐고 이어 2011년 열차마저 멈추지 않는 역이 됐다.

그러나 2012년 KBS 여행 버라이어티 `1박2일`에 소개되며 다시 주목 받았다. 나전역은 지난해 3월 착공해 2015년, 옛 추억 그대로 복원됐다.

한편, 미국에서는 219년 전 타임캡슐이 발견됐다.

최근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구 의회 의사당(올드 스테이트 하우스)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타임캡슐을 발견했다.

타임캡슐의 주인은 지난 1795년 미국 독립혁명 지도자인 새뮤얼 애덤스로 알려졌다. 새뮤얼은 의회 의사당 건립 당시 타임캡슐을 묻은 것으로 전해졌다.

주춧돌 속에서 발견된 타임캡슐 안에는 1600년대 만들어진 공예품과 서류 등이 가득차 있었다.

매사추세츠 당국은 타임캡슐을 박물관에 보관할 예정이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