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러시아워→혼잡시간' 일본식 한자어 교체, 4월의 다듬은 말

관련종목

2024-06-02 03:26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러시아워→혼잡시간` 일본식 한자어 교체, 4월의 다듬은 말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KBS)


    `러시아워→혼잡시간` 일본식 한자어 교체, 4월의 다듬은 말

    4월의 다듬은 말 소식이 전해졌다.

    국립국어원은 최근 `말다듬기 위원회` 회의를 통해 새 외래어나 지나치게 어려운 용어를 국민들의 참여를 통해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있다고 밝혔다.

    4월의 다듬은 말은 드론→무인기다.

    드론은 무선 전파를 통해 조종하는 무인 항공기다. 국립국어원은 드론(외국어) 대신 우리말 `무인기` 바꿨다.

    한편, 이런 가운데 일본식 한자어 순화어 선정 소식도 전해졌다.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본식 한자어나 일본식 표현 등 `일제 잔제 용어들`에 대해 순화어로 바꿨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순화어는 일본식 한자어 21개, 외국어 2개 등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식비 혹은 식대는 `밥값`으로, 러시아워는 `혼잡시간(대)`, 행선지는 `가는 곳`, 절수는 `물 절약` 등으로 바뀌었다.

    한편, 이런 가운데 일제 잔재로 알려진 국보 일련번호 폐지 추진 소식도 전해졌다.

    복수의 언론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지난 1월 국보에 붙여진 일련번호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장은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서 “국보의 번호가 국민에게 많은 혼란을 주고 있는 만큼 개선책 마련이 불가피하다”며 일련번호 폐지 추진 가능성을 언급했다.

    일제는 지난 1933년 우리나라 국보를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보 1호`로 시작되는 번호 체계의 기본 틀은 일제강점기 그대로로 알려졌다.

    이후 숭례문이 국보 1호로서 대표성을 상실했다며 국민서명운동이 전개되는 등 일련번호를 두고 논란이 확산된 바 있다.

    문화재청 측은 “국보 지정은 법 개정 사항이 아니어서 ‘국보 숭례문’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 등으로 전체 목록을 나열해 고시하면 효력이 발생해 절차가 간단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