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44.10

  • 14.32
  • 0.52%
코스닥

858.96

  • 3.23
  • 0.37%
1/1

"한수원 돈 내놔"‥한전 경영손실 부담

관련종목

2024-06-18 03:31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수원 돈 내놔"‥한전 경영손실 부담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올해 흑자달성이 목표인 한전이 원전가동 중단에 따른 전력 추가비용으로 몸살을 앓았는데요.

    다행히 한수원이 손실분 전부를 부담하기로 했지만, 과정을 보면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습니다.

    권영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5월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 등 원전 3기가 멈췄습니다.

    한수원과 한전기술이 원전 부품 납품 비리를 저지른 게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한전은 값싼 원자력 대신 가스 등 다른 전력을 구입해 추가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전력거래소 비용평가위원회는 30일 한전의 손실분 9,600억원을 한수원이 모두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정부의 역할이 컸습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월 초 한 방송에 출연해 "원인을 제공한 한수원이 책임져야할 비용"이라고 말했습니다.

    윤 장관 발언 직후 한전의 전력구입비용을 매기는 정산조정계수의 기준을 바꿔 새로운 전력시장운영규칙이 이번 달부터 적용됐습니다.

    <인터뷰> 전력거래소 관계자
    "원자력 처럼 비정상적인 정지로 발생하는 추가비용에 대해선 정산조정계수를 통해 반영한다는 내용이 개정됐다"

    비용평가위원회는 한전과 발전자회사, 정부, 외부 인사 등 9명으로 이뤄져 있지만 정작 안건 주체인 한수원은 배제됐습니다.

    한수원은 그러나 한전의 100% 자회사인 만큼 불만을 속으로 삭히며 대놓고 반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
    "전력거래시스템이 도입됐는데 고장, 정지로 발전을 안한다고 해서 비용을 전가시킨다는 것은 경쟁체제아래 위배가 되는 것 아닌가"

    한수원은 전임 사장이 원전비리로 물러난 상황에서 창립이래 처음으로 올해 적자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지난 17일 한전 조환익 사장은 경총포럼 직후 인터뷰에서 "올해 흑자경영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조환익 / 한국전력 사장
    "(기자: 연초까지만 해도 흑자실현한다고 했는데 가능한가?) 아직도 흑자를 포기하진 않았다"

    결과적으로 한수원이 한전 손실을 메우기로 한 만큼 흑자경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또, 윤상직 장관의 `여름철 전기요금 인상은 없다`는 발언 역시 충분히 이해가 가는 대목입니다.

    한국경제TV 권영훈입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