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4.39

  • 9.66
  • 0.35%
코스닥

841.99

  • 0.47
  • 0.06%
1/3

신기술 사업화율 17% 그쳐

관련종목

2024-06-25 15:51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신기술 사업화율 17% 그쳐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매년 수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지만 정작 시장에서 수익으로 연결되는 기술은 10건 중 1건이 채 안됩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경우 수년째 무역수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어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임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내 대학이나 공공연구소에서 개발된 기술들이 기업으로 이전되는 비율은 26%.

    새로운 기술 10개 중 7개는 서랍 속에 묻혀있습니다.

    기술이 이전 돼 실제 사업에 활용되는 비율은 17%에 불과하고 수익 창출까지 연결되는 비율은 6% 밖에 안됩니다.

    특히 정보통신분야의 기술 계약 체결 건수는 해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R&D 투자로 기술 특허의 양적인 부분은 증가했지만 질적 성과는 여전히 부족한 것입니다.

    기술 거래를 지원하는 인프라가 부족하고 수요자인 기업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정보통신기술의 경우 특히 수명주기가 짧고 시장선점의 중요성이 크지만 평가와 인증 체계 등이 기관마다 달라 효율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게 현실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기술 거래와 기술 사업화 과정에는 넘어야할 다양한 문제들이 있고 이로 인해서 충분한 기술사업화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과 종합적인 기술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와 함께 기술공급자에서 수요자로 이어지는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기술거래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이 우선 과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실장
    “기술거래측면, 기술거래 시스템 측면에서, 예를 들면 기술평가라든가 기술네트워크, 이런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사업화가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창조경제의 핵심 축으로 평가받는 정보통신기술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범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