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8.17

  • 22.85
  • 0.84%
코스닥

870.67

  • 2.31
  • 0.27%
1/2

[기자수첩] '을' 부위원장이 본 금융위원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자수첩] `을` 부위원장이 본 금융위원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밖에선 본 금융위는 철옹성 같은 성(城) 같습니다." 신임 정찬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취임사에서 밝힌 금융위원회의 이미지는 이렇게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정통 관료 출신이 아닌 정 부위원장이 민간의 시각으로 금융위 내부에 던진 메시지는 파격적이지만 명확했다. 부서간 이기주의로 인한 업무의 비효율성, 현장과 동떨어진 탁상행정 그리고 책임을 피하기 위한 소신 없는 정책집행. 정 부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그동안 누구나 알고 있었지만 지적하지 못했던 관료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위원장을 보좌해 금융위의 실질적인 내부 살림을 챙기는 자리다. 그만큼 정 부위원장이 던진 메시지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분명 파장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아직까지 외부 출신인 정 부위원장에 대한 금융위 내부의 의견은 엇갈린다. 보통 원투 쿠션으로 이뤄지는 관료사회의 인사 특성상, 민간 출신인 정 부위원장이 차관급 자리를 차지하면서 꼬여버린 인사에 대해 탐탁지 않은 시선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전문성이 있다는 건 인정하지만, 정 부위원장이 금융위에서 보면 `을` 입장인 금융연구원 출신이라는 점은 내심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런 분위기 속에 `혁신`을 선택한 정 부위원장을 보는 외부의 시선도 기대 반 우려 반이다. 군림하는 금융위가 불만이었던 금융권은 내심 혁신이 성공하길 기대하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외부 출신인 정 부위원장이 조직을 바꾸기는 역부족일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이제 우리는 금융위가 어떻게 변해갈 지 지켜보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그 결과를 떠나, 신임 정찬우 부위원장의 지적에 공감하고 있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건 분명한 이유가 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