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부동산 시장, 대선 훈풍 없다

관련종목

2024-06-01 04:2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대선 훈풍 없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대통령 선거가 두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살릴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선 후보 3인 모두 `서민주거안정`에 정책 초점을 맞추면서 대선 효과는 사실상 없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임동진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건설부동산 시장은 대선주자들의 입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집값은 내리고 건설사들은 부도가 나는 상황에서 어떤 부양책을 내놓을 지가 관심사입니다.

    역대 대선을 보면 대규모 개발 사업을 공약으로 쏟아냈기 때문입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행정수도 건설, 이명박 대통령의 4대강 건설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런데 이번 대선에서는 부동산 부양책이나 대규모 국책사업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후보 등 유력 대선주자들은 부동산 공약의 초점을 `서민주거안정`에 맞추고 있습니다.

    이른바 `하우스푸어`, `렌트푸어` 문제를 해결해 표심을 얻겠다는 전략입니다.

    또 모든 후보가 집값 하락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연착륙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현석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부동산 침체도 지속되고 있고 그래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안건들이 훨씬 중요해진 측면도 있고, 또 하나는 이슈들이 개발시대보다는 복지적인 차원들 쪽에 많이 초점이 가 있는 것 같다."

    다만 수도권 규제완화를 놓고 후보간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박근혜 후보는 찬성을, 나머지 두 후보는 반대 입장이어서 대선 이후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 사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 선거 막판에 동남권 신공항 건설 등 대형 개발 공약을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끝모를 침체 국면에 일반적인 거래마저 어려운 부동산 시장.

    국민들은 대선 주자들에게 선심성 공약보다 시장 정상화를 애타게 바라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