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26

  • 23.37
  • 0.83%
코스닥

852.67

  • 4.84
  • 0.56%
1/1

디지털 이미지 위·변조 식별 기술 개발 < KAIST>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이미지 위·변조 식별 기술 개발 < KAIST>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법원·의료·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

KAIST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 연구팀은 육안으로판단이 어려운 디지털 이미지의 위조 및 변조를 식별할 수 있는 웹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국내에서 처음 시행되는 디지털 이미지 조작탐지 웹 서비스로, 'http://forensic.kaist.ac.kr' 도메인을 통해 이날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기존의 이미지 조작 식별 서비스는 포맷 기반의 조작 탐지 방식에 근거해 위조가능성 여부만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포토샵 등 이미지 수정 프로그램의 다양한 수정 방식을 잡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국제 저명 논문 및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를 구축했다.

복사-붙여넣기, 리터칭, 전체 변형, 스플라이싱 등 다양한 조작방식을 식별하기위해 탐지방식도 여러 방향으로 구축했다.

특히 연구팀은 ▲ 이미지 픽셀의 통계적 특성의 변화를 탐지하는 픽셀기반 방식▲ 이미지 손실 압축 기업에 의한 무결성 검증을 통한 포맷 기반 방식 ▲ 카메라의촬영 프로세스가 남기는 특성에 기반한 카메라 기반 방식을 이용해 조작을 탐지했다.

이번에 개발한 웹 서비스는 이미지의 무결성 확인이 필요한 법원·의료·군사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논문사진·의료영상·법적증거자료 등에서 조작으로 인해 발생할 사회적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흥규 교수는 "전문 이미지 편집 툴의 발전 속도에 비해 위·변조 탐지기술은관심과 연구 부족으로 뒤처진 게 사실"이라며 "앞으로 위·변조를 확실하게 식별할수 있는 기술을 개발, 실용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으로 수행됐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