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성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연구재단>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성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연구재단>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내 연구진이 초파리 연구를 통해 성 행동을조절하는 단백질이 수면 기능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앞으로 수면 장애와 생식 관련 질환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개념의 수면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김영준 교수와 KAIST 생명과학과 최준호 교수 연구팀이 수면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유전자와 신경회로를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수면 항상성은 생명체에서 각성기간이 길어지면 수면 요구가 늘고, 임계선을 넘어 잠들게 되면 수면요구가 감소하는 속성을 말한다. 수면 항상성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으면 수면 장애를 겪게 된다.

연구팀은 초파리 모델을 이용해 성 행동 조절 인자인 'SPR'과 SPR을 활성화하는단백질 'MIP'로 이뤄진 신경 회로가 수면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SPR은 초파리 수컷의 정자와 함께 전달되는 성 펩타이드(Sex Peptide)의 수용체이다. 교미를 통해 성 펩타이드를 전달받은 암컷 초파리는 다른 수컷을 거부하고,산란을 준비하는 행동을 보이게 된다.

연구팀이 초파리의 뇌신경조직을 관찰한 결과 수면 조절에 중요한 PDF(신경회로망)에서 생성되는 SPR이 MIP에 의해 활성화되면, 각성 물질의 생성을 억제해 수면을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준 교수는 "초파리 모델에서 수면 상태에 따라 MIP의 분비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신경세포가 MIP의 분비를 조절하는 과정을 밝힌다면 인간의 수면항상성 조절 메커니즘의 원리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 온라인판 지난달 21일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