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정부의 시장 개입 찬성론자였다. 그보다 16살 어린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시장의 자율 조정을 지지했다.
자본주의는 케인스의 손을 들어줬다. 1930년 대공황 때문이다. 당시 케인스의조언으로 미국은 대규모 재정을 풀어 대공황을 극복했다. 이것이 뉴딜정책이다. 대공황을 연구한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비전통적 시장 개입을 단행했다. 바로 양적완화다. 중앙은행의 시장 개입 사례다.
당시 연준 부의장이던 재닛 옐런 현 연준 의장도 시장에 관여하고 있다. 임무는달라졌다. 출구전략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금리를 정상화하되 경기 충격은 최소화하는 조건이다. 문제는 과도한 유동성 탓에 금융위기 이후 자산 가격은 꽤나 오른 반면 경제 성장이 이것을 따라가지 못하는데 있다.
2014년 10월 양적완화 종료 과정도 순탄하지 않았다. 다음 단계인 기준 금리 정상화는 더욱 조심스러울 것이다.
이처럼 성급하게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연준에 브렉시트(Brexit)는 활용가치가높다.
왜냐하면 금리를 정상화하기는 해야겠는데 그렇다고 달러가 추세적으로 강해지는 것도 내키지 않을 것이다. 제조업 실적 악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연준이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으로 선택한 것은 '완만한 금리인상' 기대를 주기적으로 시장에 심어주는 것이다. 방법은 두 가지다.
첫째 미국 경기 회복 속도 둔화를 근거로 인상 횟수를 줄이거나 시기를 미루는것이다.
둘째 글로벌 금융 불안을 금리 동결 배경으로 내세우는 일이다. 이를테면 브렉시트 같은 이벤트 말이다.
5월 고용 쇼크가 6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동결의 표면적인 이유이지만 만장일치 동결이 나온 것은 브렉시트를 의식한 결정일 수 있다.
실제로 옐런은 틈날 때마다 브렉시트는 미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영국의 국민투표 결과가 유럽연합(EU) 잔류로 나오더라도 주식시장 랠리가 연말까지 지속될 수는 없을 것이다.
브렉시트 재료가 소진되면 투자자들은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에 대한 갑론을박을다시 이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준은 12월에야 금융위기 이후 첫 금리 인상을 단행했지만, 앞선 일곱번의 FOMC마다 주식시장은 조정과 안도랠리를 반복했다. 올 하반기도 유사할 것으로보인다.
최악의 상황은 금융불안이 현실화되면서 금리가 동결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지난해 8월 글로벌 주식시장의 급락 사태다. 당시 중국 인민은행의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 절하, 국제유가 40달러 붕괴, 일본 성장률의 2분기 연속 역성장등으로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불거졌다. 9월과 10월 FOMC는 금리를 무리 없이 동결했다. 올해 1월 주식시장 급락도 마찬가지다.
같은 논리로 만약 브렉시트가 현실화되어 금융시장이 쇼크를 받는다면 미국은 7월은 물론 9월 금리까지도 동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난해 8월과 올해 1월처럼 주식시장 가격 조정을 확인한 대응일 것이기때문에 크든 작든 투자자들의 고통을 수반한 결정이 될 것이다.
우리 시나리오대로 영국이 EU에 잔류한다면 주가는 단기 랠리를 펼칠 수 있다.
무엇보다 미국의 5월 고용 쇼크가 7월의 금리인상 가능성마저 낮췄기 때문에 6월 고용 동향이 아주 좋게 나오지 않는다면 9월 FOMC를 앞두고 금리 인상 우려가 부각될 8월 중반까지는 시장 흐름이 좋을 가능성이 있다.
(작성자: 이재훈 미래에셋증권[037620] 연구위원 jaehun.lee@miraeasset.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 방향과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