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61.15

  • 3.48
  • 0.14%
코스닥

743.38

  • 9.86
  • 1.34%
1/3

"엄마·아빠랑 살래요"…결혼 안 한 청년들 부모와 함께 산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결혼 적령기’로 불리는 25~39세 청년 가운데 결혼한 비율은 세 명 중 한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결혼한 청년의 중위소득이 미혼자보다 높았지만, 여자는 그 반대였다.

10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행정자료로 살펴본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을 발표해. 통계청은 “통계상 청년의 연령은 25~39세를 기본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청년기본법상 청년층인 19~34세와 차이가 있다”고 덧붙였다.

통계에 따르면 25~39세 청년 중 결혼해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자’ 비중은 2020년 38.5%에서 2021년 36.1%, 2022년 33.7%로 갈수록 떨어졌다. 2022년 기준 25~39세 가운데 기혼자는 세 명 중 한 명 수준이라는 의미다.


성별로 보면 여자의 유배우자 비중이 40.4%로, 남자(27.5%)보다 12.9%포인트 높았다. 연령대로 나눠보면 20대 후반(25~29세)이 7.9%, 30대 초반(30~34세) 34.2%, 30대 후반(35~39세)이 60.3%로 편차가 컸다.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를 둔 비율은 2020년 76.6%에서 2021년 75.6%, 2022년 74.7%로 꾸준히 내려갔다. 유배우자 비중을 고려하면 2022년 기준 25~39세 청년 가운데 결혼하고 자녀를 둔 비율은 약 25%로, 네 명 중 한 명 수준이었다.

배우자가 없는 청년의 약 절반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의 부모동거 비율은 2020년 54.9%, 2021년 51.9%, 2022년 50.6%였다. 연령대로 나눠보면 25~29세는 57.0%, 30~34세는 46.3%, 35~39세는 41.8%가 각각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에선 결혼과 ‘돈’의 상관관계도 나타났다. 상시 임금근로자 기준 유배우자 청년의 연간 중위소득은 4056만원으로, 무배우자 청년(3220만원)보다 26%(836만원) 많았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유배우자의 중위소득이 5099만원으로 무배우자(3429만원)보다 높았지만, 여자는 유배우자(2811만원)보다 무배우자(3013만원)의 중위소득이 높았다.

연령대로 나눠보면, 20대 후반 유배우자의 중위소득은 2884만원이었다. 30대 초반은 3751만원, 30대 후반은 4528만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