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8월 16일 10:20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기업공개(IPO) 상장 첫날 유통가능 물량 비율이 상반기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 첫날 주가가 치솟고 급락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자발적 의무보호예수 물량을 줄이는 벤처캐피탈(VC)·사모펀드(PEF)가 늘어나는 추세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하반기 증시에 상장한 8개 기업의 상장 첫날 유통가능 물량 비율은 평균 36.81%로 나타났다. 상반기 증시 입성을 마친 28개 기업의 평균(28.04%) 대비 8.77%포인트 상승했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유라클(56.77%)과 엑셀세라퓨틱스(47.31%), 뱅크웨어글로벌(36.13%) 순으로 상장 첫날 유통 가능 물량 비율이 높았다.
발행사의 최대주주와 VC·PEF는 유통제한 물량을 설정한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는 최대주주는 상장규정에 의거해 6개월, 기술특례상장 기업 최대주주는 1년 동안 의무보유한다. VC와 PEF는 발행사와 상의해 자발적으로 1~3개월 의무보호예수를 설정한다. 최근에는 의무보호예수 물량을 대거 줄이는 추세다.
코오롱인베스트먼트와 산업은행은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의 상장 첫날 보유 주식을 대거 매도했다.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첫날 유통 가능 물량 38만280주(165억원)를 전량 매도했고, 산업은행도 같은 날 3만460주(13억원)를 매각했다. 피앤에스미캐닉스의 투자사인 패스파인더는 상장 다음 날 20만6000주(50억원)를 매도했다.
뱅크웨어글로벌의 2대주주인 중국의 앤트그룹은 첫날 지분 대부분을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첫날 매각 가능 물량(81만1895주)과 외국인 투자자 물량(27만3000주)을 더하면 상장 첫날 외국인 전체 매도물량(106만주)이 나온다.
1년 전만해도 상장 첫날 유통물량을 최소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올 초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포스뱅크의 투자사인 IBK-BNK기술금융사모펀는 지분 18%에서 상장 첫날 물량을 1.86%로 제한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상장 후 시가총액 ‘조단위’ 대형 공모주를 제외하고 이런 기업이 사라지는 추세다.
IB업계 관계자는 “공모주 상장 첫날 상승하고 이후 급락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상장 첫날 지분을 매도하려는 투자사의 요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