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해외서도 '당근'…동네 중고거래 관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해외에는 당근처럼 동네에 진심인 서비스가 별로 없었어요. 북미와 일본에서도 ‘하이퍼 로컬’(지역 집중) 전략이 통하기 시작한 이유죠.”

황도연 당근마켓 공동대표(사진)는 21일 한국경제신문 인터뷰에서 “지난해 당근의 캐나다·일본 이용자가 세 배 이상 증가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당근은 일찌감치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 국내에서 다른 업체와 치열하게 경쟁하던 2019년 11월 KARROT(캐럿)이라는 이름으로 영국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다. 사업모델은 지역 기반 중고품 거래 플랫폼으로 한국과 같았다.

당시만 해도 당근의 해외 진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상당했다. 국내 시장을 완벽하게 장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영국에 이어 캐나다(2020년 9월) 미국(2020년 10월) 일본(2021년 2월) 등 4개 국가를 동시에 공략했기 때문이다. 보통은 첫 번째 해외 진출 국가에서 성과가 나온 후 다른 지역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이다. 당근은 지난달 캐나다의 앱 장터 무료 소셜 부문(구글 기준)에서 5위까지 올랐다. 글로벌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앞질렀다. 황 대표는 “국내 시장에서 많이 배우고 서비스를 고도화한 경험으로 해외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당근은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 해외에선 생소한 이용자 평점 ‘매너 온도’ 제도를 ‘캐럿 스코어’로 바꿨다.

이용자 간 거래가 가능한 거리도 다르다. 서울과 도쿄에선 최소 1㎞와 최대 10㎞다. 인구 밀도가 낮은 미국과 캐나다는 이를 2~50㎞로 확대했다. 황 대표는 “해외 시장은 성공까지 오래 걸리겠지만 끈질기게 도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본사 기준 첫 흑자 달성이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데 동력을 더했다. 당근 본사는 지난해 매출 1276억원, 영업이익 173억원을 올렸다. 1년 전 영업손실 464억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매출은 전년(499억원)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지역 광고 매출이 실적을 견인했다. 지역 광고를 이용하는 동네 가게가 지난해 80만 곳을 넘어섰다.

당근이 광고 사업을 확대할 수 있었던 배경은 1900만 명이 넘는 월간활성이용자(MAU)다. 황 대표는 “작년에만 수백 건의 신규 서비스를 실험했고, 지금도 30여 건의 새로운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용자와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해 끊임없이 당근을 개선했다는 얘기다. 황 대표는 “매출과 영업이익보다 이용자 재방문율과 만족도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당근은 지난해 숏폼 서비스 당근스토리, 동네 주요 정보를 취합한 동네 백과, 동네 모임 서비스 등을 도입했다. 황 대표는 “지역성이 강하고 지역 주민 간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와 기능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당근은 올해도 신사업 투자를 확대한다. 구인·구직 플랫폼, 중고차와 부동산 매매 중개 등에서 지역 기반의 새로운 사업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글=김주완/고은이 기자

사진=강은구 기자 kjwan@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