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63.92

  • 19.82
  • 0.72%
코스닥

858.95

  • 0.01
  • 0.00%
1/2

'네이버 천하' 검색 시장도 흔들리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천하' 검색 시장도 흔들리나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국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국내 인터넷 검색 시장 판도까지 흔들지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9일 NHN데이터의 데이터 아카이브 ‘다이티 블로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 검색엔진 유입률(검색 점유율)은 네이버 62.81%, 구글 31.41%, 다음 5.14%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 엔진 빙은 야후, 바이두 등과 합한 ‘기타’(0.23%)에 속해 국내 이용자 규모가 미미했다. 이 시장에서 네이버의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압도적이었다.

최근 MS 검색엔진 빙 사용자가 늘고 있다. 빙에 챗GPT를 적용하면서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빙 모바일 앱(구글 플레이스토어 기준) 하루활성이용자는 이달 4일 749명에서 약 2주 만인 22일 5274명으로 일곱 배 이상으로 늘었다. 빙이 기본 검색엔진인 MS의 웹브라우저 에지 앱 이용자도 증가했다. 올해 1월 1일 3만4021명에서 이달 22일 5만6770명으로 60% 이상 급증했다.

해외에서는 빙이 인터넷 검색 분야의 강자인 구글을 쫓고 있다. 인터넷 정보분석업체 시밀러웹에 따르면 지난달 7일부터 이달 20일까지 빙 방문자는 15.8%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구글 검색 방문자는 1% 정도 감소했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챗봇 방식이 기존의 검색 결과 나열 방식보다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 챗GPT 같은 서비스의 이용자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며 “어떤 식으로든 국내 검색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챗GPT에 대응해 AI 챗봇을 적용한 검색 서비스 서치GPT를 올해 출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도 AI 챗봇인 코챗GPT를 선보일 예정이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