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01.17

  • 21.50
  • 0.79%
코스닥

864.71

  • 1.47
  • 0.17%
1/3

오세훈 "한강 개발 독립 법인 만들 것…서울시, 재택근무 도입도 검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세훈 "한강 개발 독립 법인 만들 것…서울시, 재택근무 도입도 검토"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오세훈 서울시장이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담당한 독립 법인을 만든다고 했다. 시장이 바뀌어도 사업의 지속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다. 업무효율성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서울시 공무원들의 재택근무 시범도입도 논의해보기로 했다.

오 시장은 22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독일의 하펜시티 주식회사를 본딴 서울형 기관을 만들겠다고 했다. 그는 "15년 전 한강 르네상스를 시작했지만 시장이 바뀌면서 한강변 개발이 멈춰있었다"며 "시장이 바뀌더라도 한강이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활용도 높은 공간으로 거듭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지속가능한 기구를 만드는 걸 검토를 해야겠다"고 말했다.

독일의 함부르크시는 하펜시티를 개발하면서 직접 개발이 아니라 하펜시티 주식회사를 설립해서 이를 통해 개발을 진행했다. 20~30년 장기계획을 수립해서 일관성있게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다.

서울시에서 검토하는 방안은 크게 두가지다. 먼저 서울주택도시공사(SH)에 한강사업본부를 만드는 것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펜시티 주식회사 처럼 별도 법인을 세우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최소 1년 정도 준비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독립본부 혹은 별도 법인을 세우면 개별 사업 단위로 할 때보다 장점이 크다는게 오 시장의 판단이다. 그는 "10개 프로젝트 중 5~6개는 흑자가 나고, 나머지는 적자가 날 수있는데. 이때 개별 사업으로 하면 잘못된 정책이란 비판으로 동력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법인내에서 프로젝트를 모두 담당한다면 이익이 남는 사업에서 얻은 흑자를 적자나는 사업에 투자 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특혜시비도 없어지고 그 시설을 이용하는 편익은 물론이거니와 거기서 나오는 이익조차도 모두 시민들께 환원이 되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재택근무에 대해서도 시범도입 활발히 논의해보겠다고 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런던시장과의 면담 이후 검토입장에서 한발짝 나아갔다. 런던은 코로나 이후 5일 근무 중 3일 정도만 사무실에서 근무하고 2일은 집에서 근무하는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가 지속되고 있다. 런던 시청의 경우 사무실 근무 인원이 전체의 80% 정도다.

오 시장은 "업무 효율성이 저해되지 않는 선에서 재택근무 허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재택 근무가 늘어나면 지하철 인파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서울시가 솔선수범한다는 의미에서 그런 영역에서 시범도입을 활발하게 논의해 볼 것"이라며 "그 다음에 사회적인 분위기로 확산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한다"고 덧붙였다.

코펜하겐=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