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7.63

  • 15.49
  • 0.57%
코스닥

864.16

  • 5.99
  • 0.69%
1/4

[책마을] 평균에 맞춘 물건들이 실패한 이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책마을] 평균에 맞춘 물건들이 실패한 이유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940년대 미국 공군의 비행 훈련에서 충돌 사고가 빈번해지자 군 상부에서는 기체 결함이나 오류의 증거를 찾으려 했다. 원인을 밝힐 수 없자 과학을 전공한 길버트 대니얼스 중위가 조종사들과 조종석의 물리적 구조를 파악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좌석, 등받이, 페달, 손잡이 등 조종석의 모든 구조물이 ‘평균적인’ 병사에 맞게 제작됐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조종사들은 어느 정도 평균치에 맞춰 선발됐기 때문에 각 부품의 사양이 대체로 이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여겨진 것이다. 대니얼스 중위가 조종사 4063명의 신체를 측정한 결과, 조사 항목 10개에 모두 해당하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모든 몸은 다 달랐고, 평균적인 조종사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의 평균은 무엇을 기준으로 삼고 있을까. 사라 헨드렌 미국 올린공과대 교수는 신간 <다른 몸들을 위한 디자인>에서 이런 물음을 던진다. 그는 세상이 재단해놓은 평균을 거부하고, 장애인을 위해 구조물을 바꾸는 디자인 연구가다. 헨드렌은 2010년 미국의 장애인 마크를 바꾸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나아갈 방향을 스스로 정하는, 더 능동적인 모습으로 디자인했다. 기존 장애인 표지판에 자신이 디자인한 마크를 붙였다. 이는 미국 전역에서 큰 지지를 받았고, 뉴욕시는 그의 디자인으로 장애인 마크를 교체했다.

헨드렌이 장애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아들이 다운증후군 판정을 받으면서부터다. 장애라는 건 활동할 수 없는 몸의 상태가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단절이라는 걸 깨달았다. 세계보건기구(WHO) 연구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세계 인구의 16%인 13억 명가량이 장애를 갖고 살아간다. 평균이라는 기준으로 설계된 세상에서 거부당한 몸을 가진 사람이 13억 명이나 된다는 얘기다.

장애를 직접 겪기 전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평균으로 불리는 것 앞에 얼마나 많은 장애인이 주저하고 있는지. 책을 읽은 뒤 머릿속에 질문 하나가 떠오른다. ‘이 세상은 누구를 위해 지어졌는가?’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