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여름 길어지고 겨울 짧아져 잔디생육 치명적…정기적인 토양진단 필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여름 길어지고 겨울 짧아져 잔디생육 치명적…정기적인 토양진단 필수"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맞춰 한국 골프장들의 잔디관리가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여름이 길어지고 집중호우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방식으로는 새롭게 등장하는 잔디 병충해에 대응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골프사업팀 잔디환경연구소는 30일 경기도 용인에서 ‘골프삼성 잔디 세미나’를 열었다. 기후변화에 맞춰 잔디를 관리하는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내 주요 골프장 관계자와 한국프로축구 K리그 구장관리자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잔디는 골프장 품격을 완성하는 시작과 끝은 잔디다. 골프장에 들어설 때 시야를 가득 채우는 잔디의 품질이 첫인상을, 그리고 마지막 홀 그린에서의 플레이로 그날 라운드의 마지막 인상이 결정된다.

잔디가 잘 자라고 건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연중 포근한 기온과 안정적인 강수량이 필수다. 하지만 국내 기후는 건강한 잔디가 자라기에 점점 더 불리한 환경이 되고 있다. 반기성 K웨더 예보센터 센터장은 이날 발표에서 "100년 전과 비교해 한반도는 봄과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가 10여일 당겨졌고 가을과 겨울은 늦어져 전체적인 평균 기온이 1.6도 상승했다"고 밝혔다. 1919년부터 1940년까지 과거 30년에 비해 1991년부터 2020까지 최근 30년을 비교하면 여름은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22일 줄었다. 봄철 이상고온이 늘어나고 폭염, 열대야가 잦아진 결과다.

강수량 변화는 더욱 치명적이다. 같은 기간 연강수량은 135㎜나 증가한데 반해 강수 일수는 연간 21일 이상 줄어들었다. 비가 오는 빈도는 줄었지만 집중호우가 크게 늘어났다는 뜻이다. 여기에 봄에는 강우량이 줄어 건조해지고, 가을에는 태풍과 가을장마의 영향으로 강우량이 크게 늘어난 것 역시 잔디 생육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기후 환경이 달라지면서 잔디 병충해도 이전에 없던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김경덕 삼성물산 잔디환경연구소 소장은 "봄·가을 기간에 주로 발생하던 라지패취가 계절을 가리지 않고 1년 내내 발생하는가 하면 국내에는 없었던 저온성 피티움병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며 "다양한 병해가 동시에 발생하며 잔디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현상도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잔디연구소 측은 정기적인 토양 분석을 통한 정확한 잔디 생육 진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기적으로 잔디에 대한 건강검진을 실시해 땅의 배수능력, 경도를 측정하고 산도(pH), 인산, 칼륨 등 잔디 생육에 영향을 주는 화학적 조건을 분석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소장은 "토양 분석, 드론 특수 촬영 등의 기술을 이용해 최적의 연간 비료 제공 프로그램 수립, 예고(잔디 길이) 관리, 갱신, 배수 관로 개선 등 해결방안을 찾아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인=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