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택의 난방 방식은 중앙난방과 지역난방, 개별난방으로 나뉜다.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중앙·지역난방이 적용된 노후 주택 거주자의 난방비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주택 중 52.4%는 개별난방을 사용하고 있다. 지역난방 가구가 22.2%며, 중앙난방이 16.1%를 차지했다. 개별난방은 주택마다 설치된 보일러를 통해 난방하는 방식이다. 계절과 관계없이 난방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난방비도 사용한 만큼 부과된다. 다만 세대에서 직접 보일러를 관리해야 한다.
중앙난방은 초기 아파트들이 많이 사용한 방식이다. 단지 안에 큰 굴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택 단지 내 중앙보일러실이나 개별동 지하실 등에 설치된 대형 보일러를 가동해 가정으로 열과 온수를 공급한다. 노후 아파트에 적용된 경우가 많아 열손실률이 높고, 원할 때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없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지역난방은 최근에 건설되는 아파트에 많이 도입되는 난방 방식이다. 대형 열병합발전소에서 생산된 고온의 물을 공급받아 아파트 단지 내 보일러실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각 가정에 적정한 온도의 난방을 공급한다. 난방과 관계없이 24시간 온수를 사용할 수 있고, 각 가정에서 따로 유지·관리할 필요가 없다. 가스업계 관계자는 “난방별로 책정한 요금 수준은 비슷하기 때문에 어느 방식이 저렴하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면서도 “계량기나 배관 등 열손실이 얼마나 되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의도, 목동, 상계동 등 지어진 지 수십년 된 노후 아파트에 적용된 중앙·개별난방은 열손실 증가에 따른 운영 효율 저하로 난방비 폭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