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고급 식재료인 한우 가격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한우 사육 두수는 계속 늘어난 반면 물가 상승 부담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았기 때문이다.
13일 팜에어·한경 축산물가격지수(KLPI)와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한우 도매가는 ㎏당 1만5829원으로 전주 대비 4.0%, 전년 동월 대비 2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조사한 소비자 가격은 1등급 등심은 12일 ㎏당 9만6440원에 거래됐다. 1년 전(11만1940원)에 비해 13.8% 하락했다.
한우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은 것이 주 원인이다. 축산업계에서는 통상 250만두~270만두를 적정 사육두수로 보고 있는데 지난해 9월 기준으로 한우 사육두수는 370만두까지 증가한 상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 말까지 358만마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육 두수는 2015년 이후 계속 증가했다. 약 3년 전 한우 가격이 비싸게 거래되던 시기에 농가에서 사육 두수를 늘린 것이 지금과 같은 상황을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한 축산유통업체 관계자는 “2019~2020년에 사육 두수를 조절했어야 했는데 당시에는 소비자들의 한우 수요가 견고한 것처럼 보였다”며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영향을 고려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우협회에서는 암소가 더이상 송아지를 낳지 못하도록 암소 도축을 권하고 있지만 2~3년 키워 도축하는 소의 특성 상 공급량을 재빨리 조절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반면 물가 상승에 소비자들의 구매력은 하락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명절을 앞두고 보통 한우 시세가 많이 오르는데 올해는 오름폭이 그리 높지는 않다”며 “비싼 한우 대신 수입 축산물을 택하는 소비자들도 늘었다”고 밝혔다. 대형마트에서 한우 등심(1등급)은 전년보다 12.6% 하락한 1만380원에, 국거리(1등급)는 15.3% 하락한 4980원에 판매되고 있다.
고기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채소류 가격은 상승세다. 가뜩이나 추위에 취약한 채소류들이 겨울철 한파로 인해 생육이 부진한데다가 하우스 난방비 등 재배 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오이의 경우 ㎏당 3767원에 거래되며 지난주 대비 9.2%, 전월 대비 26.5% 올랐다. 최근 3개월간 쉼 없이 상승했다.
파프리카는 지난달보다 가격이 112.2% 뛰었고 상추와 부추는 지난주보다는 가격이 저렴해졌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50% 가량 비싸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