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4.62

  • 28.38
  • 1.03%
코스닥

855.06

  • 15.31
  • 1.76%
1/4

5대 은행 신용대출마저…금리 年7%선 뚫렸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5대 은행 신용대출마저…금리 年7%선 뚫렸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연 7%를 돌파한 가운데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의 최고 금리도 연 7%를 넘어섰다. 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연 7%를 넘은 것은 2008년 이후 14년 만이다. 한국은행이 올해 남은 두 차례(10·11월)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가능성이 높아 연 7%대 ‘초고금리 시대’가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족의 이자 상환 부담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채권금리 발작에 대출금리 ‘껑충’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신용대출 상품인 ‘KB 직장인든든 신용대출’의 금리 상단은 연 7%를 넘어섰다. 우리은행(연 6.90%)과 농협은행(연 6.81%) 신한은행(연 6.81%)의 주요 신용대출 상품의 최고 금리도 연 7%에 바짝 다가섰다.

은행권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이미 연 6%를 웃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은행이 새로 내준 신용대출 금리는 연 6.24%로 2013년 7월(연 6.25%) 이후 9년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역대 최고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연 9.2%)이었다. 한 시중은행 여신담당 임원은 “우대금리를 감안하면 은행 대출 창구의 평균 신용대출 금리는 아직 연 6%를 밑돌지만 향후 채권금리가 치솟으면 연 7%까지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시중은행의 이날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5.27~6.62% 수준이다. 신용등급 1등급인 경우에도 연 5~6% 이자를 물어야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대출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한 것은 미국발 고강도 통화 긴축에 따른 금리 발작 여파 때문이다. 신용대출 금리의 산정 지표로 쓰이는 금융채(무보증·AAA) 12개월물 금리는 지난달 28일 연 4.474%를 기록했다. 2009년 1월 2일(연 4.69%)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다. 올해 초(1월 3일) 연 1.719%와 비교해 3%포인트 가까이 뛰었다.

고정형 주담대 지표 금리인 금융채 5년물 금리도 12년 만에 연 5%를 돌파했다. 이날 하나은행과 농협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 상단은 연 7%를 넘어섰다. 전세자금대출에 주로 활용되는 금융채 2년물 금리가 연 5%에 육박하면서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최고 금리도 연 6.52%를 기록했다.
빚부터 갚자…가계대출 9개월째 감소
무거워지는 이자 부담에 가계 빚을 갚으려는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시중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가계 대출 잔액은 695조830억원으로 8월보다 1조3679억원 줄었다. 신용대출 잔액(125조5620억원)이 전달보다 2조519억원 줄면서 전체 가계대출 잔액의 감소세를 이끌었다. 신용대출 금리가 치솟자 ‘빚투(빚내서 투자)’족들이 서둘러 빚 갚기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금리 인상 혜택을 볼 수 있는 은행 예·적금 잔액은 한 달 새 30조원 넘게 늘었다. 5대 은행의 9월 말 예·적금 잔액은 799조8141억원으로 전달보다 31조2708억원 증가했다. 올 들어 9개월간 100조원 넘는 뭉칫돈이 은행에 몰렸다. 연 4%를 돌파한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연 5%를 향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법인·개인사업자 전용 비대면 상품인 ‘원(WON) 기업정기예금’은 14개월 이상 가입하면 연 5%의 이자를 준다.

하지만 예·적금 금리 상승이 변동형 주담대 지표 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끌어올려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은행이 매달 새로 조달한 자금이 기준이 되는 코픽스엔 예·적금 금리가 영향을 미친다.

김보형/이소현 기자 kph21c@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