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과 함께 나이 들어가던 반려견이 어느 날부턴가 멍하니 서 있는 일이 잦아지고, 초점 없이 허공을 응시하거나 제자리를 빙빙 돌거나 대소변 실수까지 하기 시작한다면 이른바 개 치매, '인지능력 장애'를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개들의 인지 장애 발생 확률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답은 정기적인 운동에 있다.
2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개 노화 프로젝트'에 등록된 반려견 1만5019마리를 분석한 결과, '비활동적인' 개들은 운동과 산책 등으로 '매우 활동적인' 개들보다 인지장애를 가질 확률이 6.47배나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견주의 관찰을 기반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는 운동 부족과 인지 장애 사이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지만, 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이번 연구로 입증되지 않았다.
보도에 따르면 활동성 외에 반려견의 연령도 인지장애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파악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각 견종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의 삶을 4단계로 구분해 인지장애 발생률을 살펴본 결과, 삶의 마지막 단계인 4단계에서 해가 갈수록 인지장애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경계 장애, 청력·시력 손상 등도 개의 인지장애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파악됐다.
'개 노화 프로젝트'의 전체 연구 대상 반려견 가운데 인지장애 비율은 1.4%였다. 이번 연구 대상에는 갓 태어난 강아지부터 20살을 넘긴 초고령견이 모두 포함됐다.
등록 대상 견주의 설문조사 답변이 연구의 근거가 됐고, 연구팀은 앞으로 대상 반려견수를 10만 마리까지 늘리고, 각 반려견주 대상 설문 횟수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인지장애를 가진 개와 그렇지 않은 개를 비교했지만, 앞으로는 똘똘했던 개가 나이를 먹고 인지력이 퇴화하는 사례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