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22일 "대우조선해양의 하도급노조 파업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국민 세금을 1원도 추가 지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우조선해양의 현 상황이 지속되면 정상적인 원리금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며 "모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특단의 대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문자 그대로 가능한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라고 답했다. 대우조선해양의 파산 가능성도 열어둔으로 해석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자금난에 몰리면서 연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하도급노조 파업이 이달 말까지 지속될 경우 이 회사가 입을 피해액은 총 8165억원으로 추산된다. 다음 달 말까지 이어지면 총 1조3590억원으로 추산된다. 하도급노조가 지난달 22일부터 경남 거제 아주동 옥포조선소 1도크(선박 건조공간)를 점거하면서 선박 건조 작업이 지연된 영향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1조7546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4701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적자 누적으로 3월 말 부채비율은 523.16%로 전년 말보다 144.12%포인트 치솟았다.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도 5000억원대 손실로 추산된다. 이번 파업 손실 피해까지 반영하면 영업손실 폭은 6000억~9000억원으로 커진다. 지난 3월 말 대우조선해양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1조4413억원이다. 하지만 1년 내 상환해야 하는 단기차입금 규모는 2조7280억원이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지분 55.7%)의 추가 대출 등 자금지원이 없다면 올해 말 유동성 위기를 닥칠 것이 유력하다. 그동안 12조원의 공적자금을 지원한 정부로서는 파업이 이어질 경우 추가 자금 지원이 없다고 공언한 것이다. 이 같은 압박 등으로 하도급업체 노사의 협상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르면 오늘 오전에 협상이 타결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접근법을 전 정부와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금지원에 계속 나서기보다 다양한 구조조정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