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신흥국들의 화폐 가치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강도 높은 긴축으로 달러화 가치가 수직 상승하고 있는 와중에도 동남아 환율이 잘 버텨주고 있다는 평가다. 일본 엔화, 유럽 유로화 등 선진국 통화가 강달러 흐름에 맥을 못추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각국 통화의 환율 변동률을 추적한 결과 올해 신흥국 통화의 하락률은 평균 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달러는 3.2%, 인도네시아 루피아는 5% 가량 절하됐다. 필리핀 페소, 태국 바트, 인도 루피, 말레이시아 링깃 등은 통화가치 하락률이 5%를 넘겼지만, 엔화(17%)와 유로화(11%)의 달러화 대비 하락률에 비하면 전반적으로 잘 방어했다.
이는 강달러 압력에 유독 취약했던 과거 전례를 교훈 삼아 동남아 중앙은행들이 선제적으로 긴축에 나선 덕분이다. 싱가포르은행의 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13년 미국 Fed발 테이퍼 텐트럼(긴축 발작)을 경험했던 신흥국들이 당시 학습 효과로 이번엔 빠른 대처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싱가포르 중앙은행인 싱가포르통화청(MAS)은 지난해 10월을 시작으로 이달 초까지 두 달 간격으로 강도 높은 긴축 진행하고 있다. 오는 3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Fed보다 반 년가량 앞섰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선제적인 긴축 전환뿐만 아니라 신흥국의 경상수지 적자 우려가 과거보다 옅어진 점도 환율 하락세를 잘 막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최근 관광업, 통신업 등 국가 주요 산업의 성장세가 예상됨에 따라 경제 기초 체력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이 환율 방어로 이어졌다. 이들 국가의 대표 수출품인 천연가스와 팜유 등의 가격이 오르면서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해 달러 유입량이 늘어났다. 호주 은행 ANZ의 한 아시아투자전략가는 "인도네시아는 현재까지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은 아니지만, 팜유 수출 등에서 엄청난 무역 흑자를 기록함에 따라 환율 방어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인도 루피는 이번주 들어 달러당 80루피를 기록하며 사상 최저치에 근접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한 인도 투자 담당은 "인도는 에너지 비용 등 수입물가가 상승하고 금 수요가 급증해 외환보유액이 340억달러 감소하는 등 일부 위기 요인들이 있긴 하다"면서도 "아직까진 루피 가치가 다른 신흥국 통화가치와 비슷한 수준의 평가절하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당장 정부 개입이 필요할 만큼 위급하진 않다"고 진단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