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시흥에서 80석 규모의 PC방을 운영하던 박모씨(59)는 지난해 9월 폐업을 신청했다. 2019년 2억원을 들여 차린 매장은 개업 첫해만 해도 월매출이 2400만원을 넘었다. 2020년 초 코로나19가 터진 뒤 영업제한 등으로 타격을 받아 월매출은 500만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인건비 임차료 전기료 등 고정비는 한 달에 900만원. 수개월간 매달 400만원의 적자를 떠안다가 폐업을 결심한 것이다. 박씨는 “지난해 5월부터 권리금 없이 가게를 내놨는데 매수 문의가 한 건도 없어 1000만원을 들여 가게를 철거했다”고 했다.
박씨의 사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상당 기간 이어진 고강도 방역조치를 견디다 못해 ‘폐업 절벽’에 내몰린 자영업자들의 현주소다. 4일 한국경제신문이 행정안전부 ‘지방인허가데이터’에서 자영업 관련 19개 업종(식품, 문화, 생활)의 폐업·창업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20~2021년 2년간 8개 업종의 폐업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2년(2018~2019년) 대비 29.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PC방, 단란·유흥주점 등 “코로나19 감염 확산 우려가 크다”는 이유로 집합금지 등의 조치를 받은 업종이다. 2020년 6개월 넘게 집합금지 조치를 받은 방문판매업체는 2년 새 2만1000곳 중 5600곳이 폐업했다. 2018~2019년과 비교하면 폐업 건수가 75.6% 급증했다. 상당 기간 고위험시설로 분류됐던 노래방은 3만3400곳 중 3700곳이 사라졌고, PC방은 2만5600곳 중 7600곳이 문을 닫았다. 증가율은 각각 24.6%, 20.3%다.
방역규제를 상대적으로 덜 받았던 일반음식점(술집 식당 등)과 제과영업점(카페 빵집 등)은 폐업 건수가 되레 7.5%, 10.4% 감소했다. 집합금지가 아니라 ‘9시 영업제한’ 등 비교적 느슨한 방역 조치를 받은 업종들이다. 배달과 포장 영업, 정부의 각종 현금성 지원을 통해 줄어든 매출을 일부 메운 것도 폐업을 줄인 요인으로 꼽힌다.
양길성/장강호 기자 vertigo@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