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4.18

  • 17.96
  • 0.66%
코스닥

846.51

  • 0.57
  • 0.07%
1/4

[생활속의 건강이야기] 항생제 내성과 건강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생활속의 건강이야기] 항생제 내성과 건강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보건복지부는 최근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수립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위 수준인 인체 분야 항생제 사용량을 앞으로 4년간 20% 줄일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국내에서는 하루 인구 1000명당 26.1명이 항생제 처방을 받고 있다. 매일 국민의 2.61%가 항생제를 복용하는 셈이다. 2019년 항생제 사용 실태 분석에 따르면, 국민 4분의 1 이상이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을 받았다. 의사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5% 이상은 꼭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환자가 악화할 우려나 당사자 요구 때문에 항생제를 처방한다고 밝혔다.

항생제를 처방하다 보면 표준 치료를 해도 효과가 낮거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처럼 항생제가 특정 세균에 치료 효과가 없는 것을 항생제 내성이 생겼다고 한다.

항생제 내성의 주된 원인은 항생제 오남용이다. 세균은 변화를 통해 항생제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항생제를 무력화시킨다. 살아남은 세균은 증식하면서 다른 세균에 항생제 내성 능력을 전파하고, 이 때문에 항생제 내성균이 급증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항생제 치료 후 증상이 좋아질 때 환자가 자의로 약을 끊는 것이다. 이 경우 불완전한 치료로 재발하게 돼 항생제 치료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항생제 내성균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항생제 내성균이 만연하면 폐렴, 결핵 등 흔한 감염 질환을 치료하기 어려워지고, 수술 등 의료 행위를 할 때도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한국은 항생제 내성균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의 내성률이 2007년 26%에서 2019년 40.9%까지 올랐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19년 한 해에 국내에서 4000여 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항생제 내성균 발생을 최소화하려면 의사 등 의료진이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적정 기간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환자 입장에서도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거나 압박하지 말고, 증상 치료를 위해 필요한 교육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을 자주 씻고, 필요시 마스크를 착용하며, 음식 조리와 보관 시 위생에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온 가족이 시기별로 필요한 예방접종을 받으면, 항생제 복용이 필요한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의사가 처방한 용량과 기간을 정확히 지켜 복용하고, 증상이 좋아졌다고 조기에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