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페북이 '메타'로 바뀌었다…메타버스, 차세대 인터넷 될 것" [ABCD포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메타버스의 경제적 가치를 유지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상호 간 신뢰'입니다."
우운택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메타버스 중요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내 메타버스 분야 최고 권위자인 우 교수는 29일 '2021 한경 디지털 ABCD포럼-넥스트 플랫폼 메타버스가 온다'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섰다. 최근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만든 '가상교실'에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메타버스에 대해 "가상의 융합으로 아바타를 통해 일상의 활동이 이뤄지는 '현실 확장 가상세계'"라고 정의 내린 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등의 기술을 통칭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메타버스는 일종의 새로운 미디어이자 사람이 가진 기술을 확장시키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며 "때문에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하면 우리의 능력과 사회 속에서의 상호 작용을 더 끌어올릴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우 교수는 특히 "메타버스를 산업의 관점에서만 바라볼 게 아니라 사람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메타버스를 유익한 공간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먼저 필요하다.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즐겁고 행복해야 이 분야가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그는 메타버스의 특징을 설명하며 페이스북 사례를 언급했다. 우 교수는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장(CEO)가 최근 페이스북을 '메타버스 전문 컴퍼니'로 바꾸겠다고 선포했고, 회사 이름을 아예 '메타'로 바꿨다"며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시대에 페이스북 직원들은 회사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업무를 보여 서로 마치 만난 것처럼 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페이스북은 28일(현지시간) 사명을 '메타'(Meta)로 변경하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겠다고 선언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이날 온라인 행사에서 회사 이름을 메타로 바꾼다고 밝히면서 무한대를 뜻하는 수학 기호(∞) 모양의 새로운 회사 로고를 공개했다. 그러면서 저커버그 CEO는 "우리 정체성에 관해 많이 생각해왔다"며 "오랜 시간에 걸쳐 나는 우리가 메타버스 회사로 여겨지기를 희망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처럼 우 교수는 메타버스가 멀리 있지 않고 이미 우리 주변에 혼재된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그가 꼽은 가장 대표적인 메타버스 분야는 게임. 그는 "사람이 많이 모이려면 재미가 있어야 하고 콘텐츠가 풍부해야 하는데 이걸 잘하는 분야가 바로 게임"이라며 "앞으로 게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메타버스가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로블록스나 포트나이트 같은 플랫폼을 예로 들며 "게임을 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게임을 만들고 또 다른 사람들이 내가 만든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들이 제공되고 있다"며 "게임이 메타버스의 중요한 플랫폼 기능을 가져올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통해 경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는 가상세계를 경험할 때 우리를 대신할 아바타를 통해 경험하는데, 그런 관점에서는 아바타를 통해서 여러가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그룹도 생겨나고 있다"며 "특히 제페토 같은 곳에서는 아바타를 꾸미는 가상 아이템을 비즈니스 모델로 삼기도 한다"고 소개했다.

우 교수는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메타버스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며 "메타버스의 경제적 가치를 유지시키려면 가상자산을 신뢰할 수 있는 공간에서 관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시스템도 중요하다. 위버스(Weverse,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나 오픈씨(Open Sea, 세계 최대 NFT 거래시장) 같은 플랫폼들도 향후 메타버스와 결합했을 때 상당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메타버스가 인터넷 툴 자체를 바꿔놓을 수도 있다고 봤다. 그는 "다음 세대의 인터넷 또는 웹 3.0이 메타버스가 될 거라는 분석도 있다"며 "우리가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화면이나 마우스, 카보드 등 2차원적인 부분을 활용을 했었지만 앞으로는 스스로 걸어다니면서 3차원 공간에서 디지털 정보를 접근하고 활용하는 시대로 갈 것"이라고 했다.

메타버스 플랫폼 확장 방법에 대해서는 콘텐츠를 강화하고 많은 사용자를 합류시켜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우 교수는 "로블록스나 포트나이트의 등록자수가 수억명을 넘었고 동시접속자수도 수천만명이 이르기 때문에 일단 이곳에서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면서도 "아직은 부족하다. 전세계 인구 70억명이 있는데 10% 남짓에 불과한 수준이다. 앞으로 어떻게 50% 이상 사람들이 이 공간에 오게 만들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렇게 되려면 메타버스는 모든 세대가 함께 쓸 수 있는 소셜 미디어가 돼야 하고 진입장벽이 너무 높아서도 안된다"며 "현재 있는 메타버스는 10대들을 중심으로 콘텐츠가 짜여져 있는데 전세대가 함께 쓸수 있도록 어떻게 진입장벽을 낮추느냐가 최우선 과제"라고 짚었다.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메타버스가 신뢰할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며 "여기서 가상 자산들이 다뤄질 텐데 신뢰를 할 수 없으면 여기에 모일 수가 없고, 모여도 큰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가장 중요한 건 메타버스가 규모의 경제를 따라갈 수밖에 없다는 점"이라며 "지금 각 기업들과 많은 주체들이 각자 개별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고 있는데 앞으로는 이들 플랫폼들끼리 상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호환성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메타버스를 너무 단편적으로만 접근해서도 안 된다고 경계했다. 우 교수는 "메타버스를 둘러싼 다양한 의견이 있다"며 "지금 논의되고 우리가 경험하는 메타버스는 일부분이기 때문에 메타버스 전체를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우리는 메타버스를 총제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병행해야 한다"고 균형을 잡았다.

그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메타버스에서 노동의 의미는 무엇인지, 또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냈다면 세금 문제는 어떻게 될 것인지, 이 가상 세계 안에서의 제도와 규범을 어떻게 할지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고민들을 함께 해 나가야 메타버스가 지속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