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원전과 끊으려야 끊을 수 없는 인연을 갖고 있다. 상공부에서 공무원을 시작한 그는 부처 내 요직을 두루 꿰차며 승승장구했다. 행시(26회) 동기 중에서도 선두를 달리며 공무원의 꽃인 1급도 먼저 달았다. 그런데 그 자리부터 꼬이기 시작했다. 2011년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시절 하필이면 블랙아웃(정전대란) 사태가 터진 것이다.
징계까지 당한 이 일은 두고두고 그의 발목을 잡아 결국 차관으로 승진하지 못한 채 산업부를 나왔다. 그런 그가 현 정부 들어 탈원전 정책의 선봉 역할인 한수원 사장 자리에 임명됐을 때 다들 의아해했다. 원전 육성에 앞장서온 산업부 공무원 출신으로선 그동안의 소신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역할을 떠맡아야 했기 때문.
항간에선 그가 여러 번 고사했으나 탈원전을 추진한 정권한테는 중요한 자리여서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 임종석(그와는 용문고 선후배 사이로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이 나서 설득해 승낙을 받아냈다는 얘기가 돌았다. 다음 자리로 산업부 장관을 보장받고 갔다는 확인 안 된 루머까지 나왔지만 그건 아닐 거라고 생각했다.
어찌됐건 그는 한수원 사장에 취임하자마자 특유의 돌격대장 스타일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취임 첫날 한수원 직원들을 강당에 불러모아 놓고 “에너지 정책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겠거든 떠나라”고 군기를 잡더니 기존 고위간부들을 대거 물갈이했다. 국내 원전 24기를 독점 운영하며 국가적 사업을 벌여온 한수원 직원들로선 그야말로 마른하늘에 날벼락이었다.
이후 탈원전을 위한 절차는 일사천리로 착착 진행됐다. 얼마 뒤 긴급 이사회를 열어 월성1호기 원전을 조기폐쇄키로 결정한 데 이어 공사가 상당부분 진척된 신한울 3·4호기 건설도 중단했다. 대신 신재생 확대라는 정부 정책에 보조를 맞춰 태양광 풍력단지 개발 등 신사업에 잇따라 나섰다. 회사명에서 원자력을 빼는 작업까지 추진할 정도였다.
잘나가던 한수원 실적은 급격히 쪼그라들었다. 2016년 11조원을 웃돌던 매출은 현 정부 출범 후 이듬해 8조원대로 줄었고, 2조5000억원에 육박하던 순이익도 2018년에는 적자로 돌아섰다. 100% 안팎이던 부채비율도 120%대로 뛰었다.
원전 수출로 돌파구를 찾는다고 했지만, 이 또한 여의치 않았다. 총 사업규모가 22조원에 달하는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수주는 중도 무산됐고, 당초 단독 수주가 유력했던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의 장기정비계약도 다른 국가들과 나눠먹기로 결론나면서 규모가 축소됐다.
탈원전의 행동대장 역할을 충실히 했던 정 사장은 지금 법적 책임을 져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에 처해 있다. 월성 원전 조기폐쇄 결정과 관련, 검찰은 그가 경제성 평가 조작에 가담해 한수원에 1481억원 상당의 손실을 끼쳤다며 배임 혐의로 기소한 상태다. 그런 그가 며칠 전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깜짝 발언을 했다. “원전 없이는 탄소중립은 가능하지 않다.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업계가 굉장히 어렵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 원전 생태계에 숨통이 트였으면 좋겠다”는 게 요지다. 정부의 정책 방향에 정면으로 문제제기하는 듯한 발언으로 그동안 탈원전의 선봉에 섰던 당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곤 믿기 어렵다.
그가 갑자기 왜 이런 발언을 했는지는 모른다. 정권이 시키는 대로 탈원전에 누구보다 앞장섰지만 결국 돌아온 건 법적 책임을 져야 할지도 모르는 막다른 길에 몰린 처지가 억울해서였을까. 향후 재판에서 책임을 벗기 위한 발언이라는 해석도 있지만 그도 한때 잘나갔고 자존심 센 대한민국 정통 관료였다. 정권의 충복 역할을 하느라 잠시 영혼을 버렸지만 직업 관료 출신의 마지막 자존심을 걸고 “아닌 것은 아니다”고 말하고 임기를 끝내야 한다는 소신의 발로였을 거라고 믿고 싶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