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명품에 지갑 활짝 연 '이대남'…5060 부모는 모바일쇼핑에 빠졌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50대 사업가 김모씨는 최근 골프를 배우기 시작한 20대 딸과 함께 라운딩을 갔다가 딸에게 한소리를 들었다. 입고 간 옷의 색 조합이 촌스럽고 너무 ‘아저씨 같다’는 핀잔을 들은 것. 김씨는 노란색 패션을 벗어던지고 딸이 추천해준 스타일과 브랜드의 의류를 입고 있다.

미래보다 현재에 더 많은 의미를 두고 있는 2030세대. 이들은 단순히 돈을 많이 쓸 뿐만 아니라 김씨 부녀처럼 부모의 소비 패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로 가속화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금융투자는 물론 소비시장에서도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MZ세대가 금융권과 유통업계의 러브콜을 한몸에 받고 있는 이유다.

20대 골프장 이용, 98%↑
13일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백화점과 골프 시장 등에서 MZ세대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올 상반기 기준 전체 골프장 이용금액 중 40~60대가 차지하는 비율(89%)이 여전히 20~30대(11%)를 압도하지만 MZ세대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2016년 상반기 대비 20대의 5년간 골프장 이용금액 증가율은 98%를 기록했다. 50대(58%), 30대(57%), 60대(47%), 40대(32%) 등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60대 여성이 백화점에서 100만원 이상 결제한 건수가 5년 새 14% 늘어날 때 20대 남성과 20대 여성은 각각 300%와 179%의 증가율을 보였다. 경제력은 부족하지만 과감한 레버리지(대출 등)로 적극적인 소비와 투자를 하는 2030세대의 특징이 반영됐다. 단순 소비가 아니라 ‘샤테크(샤넬+재테크)’ ‘롤테크(롤렉스+재테크)’ 등 투자 측면에서 명품을 구입하는 젊은 층도 있다. 30대 직장인 이모씨는 “소장가치가 높은 명품 브랜드를 구입해 되팔면 차익을 얻을 수 있다”며 “명품은 오늘 사는 게 가장 싸다”고 했다.

기성세대의 주된 소비영역에 2030세대가 치고 들어가는 현상뿐 아니라 젊은 층의 ‘놀이터’에 중장년층의 유입이 가속화하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기성세대의 온라인 쇼핑 이용이 크게 늘어난 게 대표적이다. 2016년 상반기만 하더라도 대형마트와 슈퍼마켓 등 전체 소비 채널 중 온라인 쇼핑 이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대는 13%, 60대는 7%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엔 50대 26%, 60대 14% 등 두 배로 뛰었다.

젊은 층의 카페와 디저트 문화도 중장년층에 확산되고 있다. 5년 전만 해도 먹고 마시는 데 사용한 돈 중 카페와 베이커리, 디저트 등 ‘부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대는 6.8%, 60대는 6.1%였다. 하지만 올 상반기 이 비율이 9.2%와 8.6%로 뛰어올랐다.

세대 간 소비의 동조화 현상이 강해지면서 트렌드에 민감하고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정보력을 보유하고 있는 2030세대의 입김이 자연스럽게 기성세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학생 자녀들의 암호화폐 투자,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에 대한 열광 등이 부모들의 관심으로 이어진다. 이준영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과거엔 부모가 삼성 TV를 사용했으면 자녀도 삼성 브랜드를 쓰는 ‘브랜드 다운’ 현상이 강했지만 요즘엔 자녀의 입김이 강해지는 ‘브랜드 업’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로 배달 앱 급증
신한카드의 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주요 소비 행태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배달 앱 이용 증가가 대표적이다. 2016년 상반기 식당을 방문하지 않고 배달 앱을 통해 밥을 사먹는 비율은 20대가 1.9%, 50대가 0.2%였다. 하지만 올 상반기 각각 29.3%와 8.0%로 급증했다.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전제품 교체 주기도 당겨졌다. 20대와 30대의 전체 소비 중 정보기술(IT) 및 가전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3%에서 4%로, 3%에서 5%로 늘어났다.

편의점 이용자 층에도 변화가 생겼다. 주고객이던 Z세대는 원격수업 등의 영향으로 밖에 있는 시간이 줄면서 편의점 이용 비중이 감소했다. 반면 대형마트 대신 집 근처 편의점에서 간단히 장을 보려는 기성세대 수요가 늘었다. 마트와 온라인 쇼핑몰 등 여러 소비 채널 중 편의점에서 물건을 산 50대 비중이 2016년 3%에서 올해 5%로 증가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