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LGU+ 모바일tv서 '유퀴즈' 못본다…CJ 채널 송출 중단, 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LG유플러스의 모바일TV에서 CJ ENM 채널이 결국 빠졌다. 콘텐츠 사용료 산정을 놓고 양사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서다. 인터넷TV(IPTV) 서비스 기업과 CJ ENM간 갈등이 채널 송출중단(블랙아웃)으로 연결된 최초 사례다.
1월부터 평행선 달리다가 '협상 결렬'
12일 LG유플러스는 이날부로 자사 모바일TV 앱인 U+모바일tv에서 CJ ENM의 실시간 방송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tvN, 올리브, 중화TV, 엠넷, 투니버스 등 총 10개 채널 실시간 방송 서비스가 끊겼다.

양사는 올초부터 프로그램 사용료를 의논해왔으나 협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콘텐츠 이용료 인상안을 두고 여러 측면에서 이견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CJ ENM은 U+모바일tv에 콘텐츠 사용료를 전년 대비 175% 올려달라고 요구했다. 기존 사용료가 지나치게 낮았던 만큼 가격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게 CJ ENM 주장이다. 반면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인상폭이 과도하다고 맞섰다.
LGU+ "이용자 불편 책임, CJ ENM에"
양사는 이번 채널 송출 중단 책임 소재를 두고도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날 "CJ ENM의 과도한 사용료 인상 요구가 협상 결렬의 원인"이라며 "이용자 불편을 초래한 책임이 CJ ENM에 있으니 책임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LG유플러스는 두자릿수 인상안을 세 차례에 걸쳐 제시했으나 CJ ENM은 전년대비 175%를 올려달라고 고집했다"며 "이는 '비상식적인 금액'"이라며 CJ ENM을 맹비난했다.

"플랫폼과 대형 PP간 연간 사용료 인상률이 10% 이내인 것을 고려하면 무리한 수준"이라는게 LG유플러스의 입장이다. LG유플러스는 2019년엔 CJ ENM에 콘텐츠값을 9%, 2020년엔 24%만큼 올려서 냈다.
CJ ENM "콘텐츠로 이득보는 플랫폼, 분배엔 인색"
CJ ENM은 정반대 입장이다. LG유플러스가 콘텐츠에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 채널 송출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CJ ENM 관계자는 "만일 어떤 기업이 1000원 가치가 있는 제품을 거래처에 10원에 제공해왔다면, 제품 값을 100원으로 올려달라는 요구를 지나친 것으로 치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인상률 절대치만으로 CJ ENM에 책임을 돌리려 하는 것은 본질을 호도하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CJ ENM은 경영진부터도 강경한 입장인 분위기다. 지난달 말엔 CJ ENM 기자간담회에 나선 강호성 CJ ENM 대표가 직접 콘텐츠값 인상을 공식 요구했다.

강 대표는 "K-콘텐츠의 질이 올라간 것에 비해 산업 분배 구조는 선진화되지 못했다"며 "기업들이 콘텐츠에만 관심이 있고 분배에 관심이 없으면 콘텐츠 시장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티빙만 키우려는 의도" vs "K-콘텐츠 하청기지 전락 막으려"
양사는 CJ ENM의 콘텐츠 사용료 인상 요구 배경을 두고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LG유플러스는 CJ ENM이 다른 플랫폼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사용료 인상폭을 고집한 것으로 보고 있다. CJ ENM의 경우 협상이 성사되면 콘텐츠 사용료를 높게 받아 좋고, 결렬되면 타사 플랫폼 기업의 콘텐츠 제공폭이 줄어들어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CJ ENM이 과도한 사용료 인상 요구를 고수하는 것은 협상이 결렬된 경우 자사 OTT인 티빙에만 콘텐츠를 송출해 가입자를 대거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추정된다"며 "코로나19 이후 OTT 시장이 커지자 타사를 견제하고 자사 서비스만 키우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움직임이 계속되면 결국 국내 미디어 산업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했다.

반면 CJ ENM은 국내 미디어 산업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요구안을 고집했다고 주장한다.

강호성 CJ ENM 대표는 "기존 구조대로라면 콘텐츠 기업이 수신료(콘텐츠 이용료)가 아니라 협찬 수익 등 부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 된다"며 "분배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K콘텐츠는 결국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기업에만 줄을 서게 돼 한국 콘텐츠 업계가 '하청기지'로 전락할 것"이라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