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주 일제히 상승
23일 철강주는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포스코는 0.71% 오른 35만5500원에, 현대제철은 3.00% 상승한 5만1500원, 동국제강은 14.39% 급등한 2만3450원에 마감했다. 세아제강(16.07%) 휴스틸(11.54%) KG동부제철(9.04%) 등 중소형 철강주는 상승폭이 더 컸다.지난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철강주는 올 들어 무서운 기세로 오르고 있다. 포스코는 이달 들어 11.61%, 올 들어 30.22% 급등했다. 현대제철 역시 올 들어 25.0%, 동국제강은 170.16% 상승했다.
철강주가 급등하는 건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철강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김현욱 신한금융투자 책임연구원은 “미국 내 자동차와 가전제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미 열연가격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전방산업인 조선 업황도 좋아지고 있다. 해상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 조선·해운 전문 시장조사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 1분기 세계 선박 발주량은 1025만CGT(표준선 환산톤수·323척)로 전년 대비 148.2% 증가했다. 주요국이 경기 부양책으로 인프라 건설 사업을 적극 추진하면서 추가 수요에 대한 기대도 더해진 상태다.
○수요 증가→판매가 상승→이익 증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자 제품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1분기 포스코의 철강재 평균판매 단가가 전 분기 대비 t당 약 8만원 올랐을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제철 역시 1분기 열연 가격을 고객사별로 16만~20만원 인상했다. 4년간 동결됐던 후판가격도 국내 조선 3사와 t당 12만~13만원 올리는 데 합의했다. 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열연 강판의 국내 유통가격은 t당 100만원에 육박하고 있다”며 “열연강판 가격이 t당 90만원을 넘은 건 2011년 이후 10년 만”이라고 설명했다.가격 인상은 곧바로 1분기 실적 턴어라운드로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는 올 1분기 영업이익이 1조5520억원(잠정치)으로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현대제철의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748억원으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 정책을 펴고 있고, 건설사들도 아파트 분양 물량을 늘리면서 국내 건설사에 철근을 공급하는 동국제강 대한제강 등 중소 철강사의 실적도 호조세다. 올해 국내 철근 수요는 작년 대비 약 5~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실적도 좋다”
철강업계는 상반기까지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경기 회복에 속도가 붙으면서 철강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달 들어 가격을 추가로 인상한 업체도 있다. 중국 정부 감산 정책 역시 호재다. 중국 정부는 최근 중국 내 최대 철강 생산 지역인 탕산시에 있는 23개 철강기업 중 일곱 곳의 생산량을 상반기 50%, 하반기 30%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2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꾸준히 상향 조정되고 있다. 포스코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6개월 전 7791억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현대제철의 영업이익은 1625억원에서 2560억원으로 늘어났다.변수는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부족의 장기화와 중국의 실제 감산 여부다. 백 연구원은 “반도체 부족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차량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면 철강업체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중국이 발표한 감산 정책 역시 실제 이행될 것인지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