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5.79

  • 16.26
  • 0.58%
코스닥

839.18

  • 2.94
  • 0.35%
1/3

코로나에 '경제개혁' 나선 쿠바, 대부분 산업에 민간기업 허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에 '경제개혁' 나선 쿠바, 대부분 산업에 민간기업 허용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쿠바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부분의 산업에 민간기업의 활동을 허용하기로 했다.

8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마르타 엘레나 페이토 쿠바 노동부 장관은 민간기업 활동을 허용하는 업종을 기존 127개에서 2000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국영기업이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관여하는 업종은 124개로 제한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업종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국방, 보건, 언론 등 국가 전략과 관련된 업종을 제외하고는 민간기업 활동을 허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쿠바 경제는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과 미국의 경제 제재 등으로 큰 타격을 입어 11% 역성장했다. 옛 소련 붕괴 이후 최악의 경제 위기로 쿠바 국민들은 생필품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번 조치는 쿠바 정부가 새롭게 출범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존 카불리치 미국·쿠바 통상경제위원장은 “쿠바가 환율 자율화와 민간경제 확대를 성공적으로 해낸다면 미국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쿠바 정부는 올해부터 경제 개혁의 일환으로 복잡한 이중통화 제도를 폐기했다. 단일통화제가 자리잡으면 쿠바 경제에 투명성이 더해지고 외국인 투자도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