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중기·소상공인에 대한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놓고 은행권 안팎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유예 조치를 또다시 연장했다가는 선제적 구조조정 기회를 놓치고 자칫 금융회사까지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반면 추가 금융 지원이 없으면 자영업자 상당수가 내년에 무너질 것이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1일 은성수 금융위원장 주재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및 2021년 금융정책 방향’ 간담회(영상회의)에서 일부 은행장은 내년 3월로 예정된 대출 이자 유예를 재연장하는 방안에 우려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는 신한 하나 국민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장 및 은행연합회장을 비롯해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과 정부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한 은행장은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내년 3월 말) 대출 원금 만기 연장은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면서도 “이자 유예를 계속해 주는 것은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3월 은행을 포함한 금융권은 정부의 금융 지원 방침에 따라 중기·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와 이자 상환을 지난 9월 말 이후로 미뤘다. 이후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되지 않자 이 기한을 내년 3월 말 이후로 한 차례 더 연장해 줬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기업은 한계 기업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코로나19 극복도 좋지만 코로나19 이전에 한계에 도달한 기업까지 안고 가는 것은 어려운 일 아니겠냐”고 되물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권의 이자 납입 유예 규모는 950억원(8358건)이다. 평균 적용 금리를 연 2.5%로 가정하면 원금 3조8000억원의 상환 가능성이 불투명한 셈이라는 게 은행권 판단이다.
정부는 금융 지원이 끊겼을 때 타격을 우려해 은행 협조를 바라고 있다. 한국은행은 ‘하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금융 지원이 끊겼을 때 영세 자영업자 다섯 명 중 한 명이 유동성 위기를 맞을 것으로 분석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