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깡’이라는 유행어를 낳은 가수 비의 노래 ‘깡’은 올해 히트작으로 꼽힌다. 깡이라는 노래가 유행하자 자연스럽게 과자 ‘새우깡’으로 패러디하는 영상이 돌기 시작했다. 새우깡의 제조사인 농심은 발빠르게 가수 비를 새우깡 광고 모델로 발탁했다. 소비자들이 참여하는 ‘새우깡 챌린지’를 기획하고 방송 프로그램에 간접광고(PPL)도 진행했다.
활발한 마케팅 덕분에 새우깡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농심이 비와 함께 촬영한 새우깡 광고 영상은 유튜브에서 한 달 만에 조회 수 200만 건을 넘어섰다. 댓글도 2300여 개가 달렸다. 소비자들은 “광고 보다가 새우깡이 너무 먹고 싶어서 사러 나왔다”, “오랜만에 깡 4종을 ‘싹쓸이’했는데 먹어보니 이만한 과자가 없다”, “직접 검색해서 본 광고는 이번이 처음” 등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깡 열풍 타고 매출도 급증
온라인에서의 인기는 매출로 이어졌다. 농심의 새우깡과 고구마깡, 감자깡, 양파깡 4종의 7월 한 달 매출은 100억원을 돌파했다. 깡 스낵 출시 이후 최대 기록이다.농심의 깡 스낵은 1971년 새우깡을 시작으로 1972년 감자깡, 1973년 양파깡과 고구마깡으로 이어졌다. 40여 년 역사의 장수 브랜드다. 깡 스낵은 새우, 감자 등의 맛을 그대로 재현하면서도 바삭한 식감을 잘 살려 중독성이 높은 것이 강점이다.
대표 제품인 새우깡은 생새우를 튀기지 않고 소금에 구워 남녀노소 부담없이 즐기는 ‘국민 스낵’으로 자리잡았다. 1970~1980년대 새우깡을 즐겨먹던 어린이는 이제 부모가 돼 자녀와 함께 새우깡을 즐긴다. 새우깡은 국민스낵, 국민안주, 국민먹거리로도 불린다. 내년 출시 50주년을 앞둔 새우깡은 매년 7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농심은 새우깡의 인기 비결로 △진짜 새우를 넣은 점 △기름에 튀기지 않고 소금에 구운 점 △국내 최초 스낵이라는 점을 꼽는다. 새우깡은 한국인들이 고소한 새우 소금구이를 좋아한다는 데 착안해 개발했다. 고소하고 짭짤한 맛을 살리기 위해 실제 새우를 갈아넣었다. 새우깡 한 봉지(90g)에는 5~7㎝ 크기의 새우 4~5마리가 들어간다.
새우깡은 일반적인 과자와 달리 가열한 소금에 굽는다. 최적의 새우 맛을 살리기 위해, 또 고소하고 짭짤한 맛을 극대화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다. 기름지지 않은 과자, 적당히 부풀어 올라 바삭한 과자를 완성할 수 있었던 비결이다.
새우깡은 국내 최초 스낵이다. 새우깡이 출시된 1971년엔 제과업체들이 비스킷과 사탕, 건빵 등을 주로 생산했다. 스낵이란 제품은 존재하지 않았다. 농심은 어린이부터 노년층까지 누구나 쉽게 먹을 수 있는 스낵을 개발하기 위해 1년여간 연구했다. 새우깡 개발 과정에서 사용한 밀가루 양만 4.5t 트럭 80여 대분에 달한다. 시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온도가 적절치 않아 수없이 태우는 등 실패를 거듭했기 때문이다. 입에 넣고 깨물었을 때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실험도 수백 번을 거쳤다.
‘새우깡’ 브랜드의 유래
최근 화제가 된 ‘새우깡’이란 브랜드명은 개발 당시 신춘호 농심 사장의 어린 딸이 ‘아리랑’ 노래를 ’아리깡~ 아리깡’이라고 부른 데서 힌트를 얻었다. 그때 제품명 후보로 나왔던 이름 중에는 새우스낵, 새우튀밥, 새우빵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신 사장은 “새우깡이 입에 착 붙는다”며 새우깡을 택했다.국내 첫 스낵 새우깡은 생산되기가 무섭게 팔려나갔다. 당시 서울 대방동 공장에는 물건을 가져가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트럭들이 장사진을 이루기도 했다. 첫해 생산량은 20만6000박스였다. 이듬해엔 20배가 넘는 425만 박스를 생산했다.
농심은 10여 차례 새우깡 패키지 디자인을 바꿨다. 최근엔 새우를 상징하는 주황색과 고급스러워 보이는 금색 배경은 그대로 유지하되 새우 이미지를 더 큼직하고 먹음직스럽게 바꿨다. 또 ‘튀기지 않고 구워 만든 스낵’이라는 문구를 앞면에 새겨넣어 담백한 맛을 강조했다. 포장지 디자인을 바꾼 건 6년 만이다.
농심 관계자는 “조만간 고객들이 새우깡 챌린지 공모전에 응모한 아이디어로 제작한 광고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