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산림청, ICT 산사태지도 구축·산악기상관측망 확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산림청은 우기 전인 이달 말까지 사방댐 296개, 계류보전사업 320㎞, 산지사방사업 159㏊ 등 산사태예방사업을 마무리한다고 24일 발표했다. 산사태 등 호우로 인한 2차 피해 우려가 높은 대형 산림재해 피해지에 긴급조치, 항구복구 등의 복구사업도 함께 벌인다. 산림청은 지난해 강원지역 대형 산불피해지에 사방댐 3개 등 복구사업을 준공했다. 같은 기간 제18호 태풍 미탁
피해지는 이달 말까지 복구 완료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올봄 강원 고성, 경북 안동 등 산불 피해지에는 산사태 관련 전문가를 파견해 긴급진단 과정을 거쳐 피해지 복구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산사태취약지역과 재난 저감 시설인 사방댐 등이 설치된 사방사업지도 점검해 국민 생활권 주변 재난 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하고 있다. 사방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행정 처리와 재정을 빈틈없이 집행해 우기 전 모든 사업이 완공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다.

지난해 4월 고성과 강릉, 인제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해 2832㏊의 산림피해가 발생한 이후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 등 2차 피해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산림청은 이에 산불로 인해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생활권 주변에 산사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정밀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에 따라 강릉 2곳, 고성 11곳, 속초 2곳을 대상으로 산지사방 24㏊, 사방댐 3개, 계류보전 1㎞ 등을 응급복구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해 강원 산불 피해 이후 제기된 산사태 위험에 적극 대응해 지난해 역대 최다인 7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에도 2차 피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올해 정보통신기술(ICT)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해 산사태위험지도 등을 활용한 산사태 발생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기존 격자 단위의 산사태위험지도는 산사태위험등급이 세분화돼 표시되기는 하지만 국민이 쉽고 편하게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새롭게 만들고 있는 산사태위험지도는 산림 내 물이 모이는 기본 단위인 유역에 따라 위험등급 최소 단위를 구분하고 최신 물리모델을 적용해 더 논리적이고 정확한 산사태 발생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산림청은 복잡·다양한 산림 재해 예측을 위한 산악기상관측망도 확충하고 있다. 현재 산악기상관측망은 313개다. 산림청은 올해 50개를 더 늘릴 계획이다. 관측망에 첨단 기술도 입힌다. 산불 확산과 산사태 발생 등 산림재해 예측 고도화 및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산악기상관측망과 산사태정보시스템을 연계해 산사태 위험 예·경보의 정확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 기술이 완성되면 현재 80%대인 산불 예측도를 2022년까지 90%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산림청은 관측망에 재해 기능과 함께 국민생활과 밀접한 산악레저 등의 맞춤형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극한호우, 가뭄 등 산악지역 이상기상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산악지역 및 국내 100대 명산, 휴양림 등에 날씨 등의 맞춤형 산악기상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