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통합·한국당 합당, 103석 제1야당 출범…"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촉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통합·한국당 합당, 103석 제1야당 출범…"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촉구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이 합당 절차를 마무리하고 103석의 제1야당으로 정식 출범했다. 합당 결의를 마친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와 원유철 한국당 대표는 한목소리로 연동형 비례대표제(연비제) 폐지를 요구했다.

두 대표는 28일 국회에서 ‘통합당-한국당 합당 선포식’을 열고 합당을 최종 결의했다. 주 원내대표는 “환지본처(還至本處), 즉 원래 있던 곳으로 돌아간다는 말이 생각난다”며 “19명의 미래한국당 당선자와 힘을 합쳐 정권의 잘못을 시정하고 국민을 위해 국회가 작동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원 대표도 “통합당과 한국당은 이제 하나가 된다”며 “다시 하나 된 미래형제당이 한국의 미래를 열도록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와 원 대표는 선거법 개정에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주 원내대표는 “연비제는 더불어민주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법을 통과시키기 위해 무리하게 4+1(당시 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를 통해 밀어붙인 결과”라며 “하자 있는 법을 밀어붙여 놓고 사과와 반성이 없는 것은 후안무치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원 대표 역시 “총선 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 80% 이상이 연비제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자세로 누더기 악법을 해결해 국민이 혼란스러운 선거제도 아래에서 투표하지 않게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당명도 변경될 예정이다. 다만 최종 결정은 비상대책위원회에서 하기로 했다. 합당 수임기구에 참여한 김상훈 통합당 의원은 “당명은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별도 개정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합당을 마친 통합당의 첫 과제 중 하나는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대폭 개편이다. 우선 당 대표가 여의도연구원 이사장을 겸임해온 관례를 막기 위해 당헌·당규 개정부터 할 예정이다. 여연의 독립성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인력 구조조정을 포함한 인적 쇄신도 예상된다. 현재 여연 인력은 박사급 인력 10여 명, 행정담당 직원 7명 등 17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종인 비대위 체제의 첫 사무총장은 21대 총선에서 낙선한 김선동 의원으로 결정됐다. 김 의원은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김 위원장의 혁신을 잘 뒷받침하면서 다시 당이 살아날 수 있도록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