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 투표율이 66%를 넘었다. 총선 투표율이 60%대를 돌파한 것은 2004년 17대 총선(60.6%) 이후 16년 만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20~40대 젊은 층이 적극적으로 투표했고, 보수·진보 진영이 상대의 자극에 결집해 투표율을 밀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2014년 도입된 사전투표제의 성공적인 정착도 투표율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1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1대 총선 전국 투표율은 66.2%로 잠정 집계됐다. 4년 전 20대 총선의 최종 투표율인 58.0%를 훌쩍 뛰어넘었다. 투표율만 놓고 보면 1992년 14대 총선(71.9%) 후 28년 만의 최고치다.
전국 권역별로 살펴보면 투표율이 높은 지역은 울산(68.6%) 세종(68.5%) 서울(68.1%) 전남(67.8%) 경남(67.8%) 순이었고, 투표율이 낮게 나타난 곳은 인천(63.2%) 제주(62.9%) 충남(62.4%) 등이었다. 부산(67.7%) 대구(67.0%) 전북(67.0%) 경북(66.4%) 등이 평균 투표율을 웃돌았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 나타났던 투표율의 ‘서고동저(西高東低)’ 현상은 없었다. 20대 총선에선 호남권 주요 지역의 투표율이 영남권보다 7~8%포인트씩 높게 나타났다. 이번 21대 총선에선 부산 대구 울산 경남 등 영남권 투표율이 호남권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진보 성향이 강한 호남권의 투표율에 자극받은 보수 유권자들의 표심이 막판 결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투표 종료 직전인 오후 4~6시 대구와 부산 지역의 투표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시간당 3%포인트씩 치솟기도 했다.<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서울·TK·PK 투표율 높았다…지지층 막판 결집
지난해 ‘조국 사태’를 계기로 격화된 보수·진보 진영 간 정면출동 양상이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지역구 후보와 비례대표 후보 선거의 투표용지가 나뉜 1인 2표제가 처음 도입된 2004년 이후 지금까지 다섯 번의 총선에서 투표율이 60%를 넘은 건 17대와 이번 21대 두 번뿐이다.
정치권에선 이번 총선이 노무현 대통령 시절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의결되며 양당 구도가 심화된 상태에서 치러진 17대 총선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 것 아니겠느냐는 평가가 나왔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여야는 지난해 말부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두고 정면충돌했고 이른바 ‘조국 사태’가 논란이 되면서 진영 간 갈등은 더 깊어졌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서초동집회와 광화문집회로 상징되는 양극단의 충돌 구도가 이번 선거에서 표 대결 양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60%대의 높은 투표율을 이끈 다른 요인으로는 사전투표제 효과가 꼽힌다. 지난 10~11일 치러진 사전투표 투표율은 26.6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치권에선 20~40대 젊은 층의 사전투표 및 본투표 참가율 상승이 전체 투표율을 끌어올린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 예상을 깬 높은 투표율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정부·여당에 힘을 실어주고자 하는 표심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래통합당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높은 투표율을 보인 건 유권자들의 마음에 내재된 분노가 정부를 향해서 표출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정호/성상훈 기자 dolph@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