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삼성전자株 지금이라도 살까? EPS는 알고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우리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거래를 합니다. 할인점이나 편의점에서 물건을 사고, 거래소를 통해 주식과 채권을 사고팔기도 합니다. 물건값은 출고가, 도매가, 소매가가 공간에 따라 달라지지만 주식과 채권은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하루에도 몇 번씩 시간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물건을 어느 곳에서 사야 더 싸게 살 수 있는지 알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증권은 언제 사는 것이 좋은지 알기 위해 애를 씁니다. 지금 살 것인가. 팔 것인가.

물건값은 유통경로를 통과할수록 올라갑니다. 수요가 많을수록 공급이 적을수록 값이 올라갑니다. 삼성전자와 같은 주식가격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삼성전자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자 재밌는 기사들이 이어졌습니다. 1)액면분할의 저주가 풀렸다. 2)드디어 액면분할 효과가 나타났다. 과연 무엇이 옳은 말일까요. 답은 둘 다 틀렸습니다.


삼성전자가 모두의 관심 대상인 이유는 한국에서 가장 큰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기업인 이유는 가치에 해당하는 시가총액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360조원을 넘었고, SK하이닉스가 70조원으로 2위, 네이버가 30조원으로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한국사회에서 비중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의 가치는 왜 각각 360조원, 70조원, 30조원으로 계산될까요. 삼성전자의 가치는 액면분할을 해 현재 60억 주에 가까운 주식 수에 주당가격 6만원을 곱해 측정합니다. SK하이닉스는 7억 주에 주당 가격이 10만원 수준에 이르기 때문이고, 네이버는 1.6억 주에 주당 18만원이기 때문입니다. 이슈가 된 액면분할 이전으로 삼성전자를 계산하면 어떻게 될까요. 주식 수는 1.2억 주에 주가는 300만원 수준일 것입니다.

액면분할을 하면 주가는 오를까요, 떨어질까요. 당시로 돌아가서 수요 입장에서 이야기하면 250만원이 아니라 5만원이니 투자 접근이 쉬워져서 수요가 늘어나고 이는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됩니다. 공급 측면으로 이야기하면 주식 수가 무려 50배가 늘었으니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오히려 가격 하락의 요인이 됩니다. 액면분할은 삼성전자의 주가와 본질적으로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피자 조각 수가 50배로 늘고, 피자 한 조각이 50분의 1로 줄어도 피자 한 덩어리에는 본질적인 변화가 없습니다. 과거에 평당으로 계산하던 아파트를 제곱미터로 계산한다고 가격이 오르거나 떨어질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들은 바보가 아닙니다.

다음 질문. 그럼 삼성전자 주식 가격은 언제 오를까요. 뻔한 답이지만, 삼성전자의 가치가 커져야 합니다. 물건을 살 때 가격과 성능을 비교하는 가성비를 따지는 것처럼 주식을 살 때도 가격과 가치를 비교해 고평가와 저평가를 구분합니다. 물건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듯이, 기업가치도 측정 방법이 있는데, 주주에게 주어지는 몫은 재무상태표상에 있는 ‘순자산’과 손익계산서에 있는 ‘순이익’입니다. 가격을 순자산가치와 비교하는 것을 시가총액/순자산가치라고 하거나 증권 한 조각을 계산해 가격(price)/장부가치(book value)라고 합니다. 가격을 이익과 비교하면 시가총액/순이익 또는 주식 한 조각의 가격(price)/수익(earning)이라고 합니다. 싼지 비싼지를 판단하는 대표지표가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수익비율(PER)인 이유입니다. 어떤 지표가 더 중요할까요. 기업을 영구존속의 계속기업으로 가정하니 가진 것에 해당하는 주당순자산가치(BPS)보다 버는 것에 해당하는 주당순이익(EPS)이 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이를 반영하면 삼성전자의 주가는 삼성전자의 수익가치와 삼성전자의 PER에 의해 결정됩니다. 시가총액은 실적*배수이며, 주가 P=EPS×PER인 것입니다. 세계 펀드매니저가 가장 많이 보는 두 지표가 바로 EPS와 PER입니다.

삼성전자 주가는 최근에 왜 올랐을까요. 외국인이 사서 올랐다는데, 그럼 그들은 왜 샀을까요. 6만원이 넘는 가격인데, 그들은 현재 가격에서 팔까요. 가치 중 이익이 더 중요한데 투자자에게 과거이익, 현재이익, 미래이익 중 가장 중요한 이익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미래이익입니다. 그럼, 투자자가 공통적으로 보는 이익은 1개월 후일까요, 6개월 후일까요, 1년 후일까요. 세계 펀드매니저들이 가장 많이 보는 지표는 1년 후 이익에 해당하는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Forward 12 Month EPS)입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신뢰성이 높을까요, 낮을까요. 미래예측은 틀릴 확률이 높기에 펀드매니저들은 이 자료를 평균해 활용하고 업데이트합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이익지표는 결국 ‘Forward 12 Month EPS Consensus의 추이’가 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Forward 12 Month EPS Consensus는 각각 [그림]과 같습니다. 외국투자자들이 삼성전자의 주식을 왜 사는지, 그들이 SK하이닉스보다 삼성전자를 더 선호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이익모멘텀이 왜 좋은지 알았는데, 삼성전자의 주가가 싼 것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익이 늘어서 가격이 올랐으면 지금 매수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예상실적증가폭이 주가상승폭이라면 아무 문제가 없는데, 실적증가폭에 비해 주가상승폭이 크면 매수를 고민해야 합니다. 현재 삼성전자 주가인 6만2000원과 예상 실적인 4700원을 계산하면 삼성전자의 Forward PER은 13.3 수준인데, 이는 최근 4년의 PER 밴드인 6.4배, 10.1배, 13.7배, 17.4배를 감안하면 어깨보다 조금 낮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여기서부터는 생각이 갈라집니다.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여전히 매수가 가능할 것이고, 보수적 투자자라면 팔지는 않겠지만 신규 매수는 꺼려질 수도 있습니다.

애플은 어떨까요. 애플은 시가총액이 삼성전자의 4.5배에 해당하는 1600조원입니다. Forward EPS는 상승 중이고, PER 밴드는 과거 수준인 12배 16.1배, 20.2배, 24.3배의 최고 수준인 23.1배에 있습니다. 버핏은 신규매수는 하지 않겠지만 역시 팔지도 않을 것입니다. 투자, 현상이 아닌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야 남을 따라 사는 것이 아니라 자기 판단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최일 이안금융교육 대표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