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세상(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이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WEF) 회장이 한 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업의 변신이 요구되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등장하고 하늘을 나는 자동차, 인간과 협업하는 로봇이 선을 보이는 시대다. 이런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이 살아남고 승승장구하려면 미래형 기업으로의 발빠른 변신이 필요하다. 기업의 집적지인 산업단지의 변신도 필요하다.
노후화하는 ‘제조업 요람’산업단지는 국내 제조업의 요람이다. 전국의 산업단지는 작년 말 기준으로 총 1207개가 있다. 입주 기업은 10만786개사, 고용은 216만 명에 이른다. 전국 제조업 생산의 70.3%, 수출의 73.9%, 고용의 4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지역 중 반월·시화는 국내 최대 중소제조업 밀집 지역이다. 지난 8월 기준 반월과 시화(시화MTV 포함)엔 1만960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기계와 전기·전자업체, 뿌리기업이 밀집해 있다.
하지만 전국의 산업단지는 수십 년 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낡은 공장이 많아 젊은이들이 잘 오지 않는다. 가동률 저하와 미래 먹거리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월·시화도 마찬가지다. 여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국내외 경기 침체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공장이 속속 해외로 나가면서 일감이 줄어든 데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세계 경기가 움츠러들면서 이런 여파가 반월·시화에도 밀려들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고 있지만 산업단지 내 이런 혁신을 주도할 인프라도 부족하다.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4차 산업혁명에서 필수불가결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와 솔루션도 미흡하다. 중소기업으로선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쉽지 않다. 그렇다고 개별 기업 차원에서 이를 주도하기도 어렵다.
스마트산단 선도산단 지정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나섰다. 이 지역을 스마트산업단지 선도산단으로 지정한 것이다. 스마트산단은 ICT 기반의 지능화 서비스를 활용해 첨단 신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입지 여건과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산업단지를 의미한다.
기반기술(요소기술)의 핵심은 ‘AICBM’이다. 즉 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이다. 여기에 스마트그리드,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시티까지 결합한 것이다. 개별 공장의 스마트화를 뛰어넘어 산업단지를 기업 경쟁력 제고의 플랫폼으로 만들기 위한 구상이다.
스마트산단은 반월·시화와 창원을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지정돼 2030년까지 모두 20개가 지정될 예정이다. 선도산단은 이들의 길잡이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스마트산단의 정책 목표는 제조업 혁신과 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이다. 좀 더 구체적으론 △산단 내 스마트공장을 확산하면서 데이터를 공유해 ‘제조혁신’을 가속화하고 △쾌적한 근로·정주환경을 마련해 근로자 만족도를 높이며 △‘창업과 신산업 활성화’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산단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경쟁력 높이고 공유경제 활성화이를 위해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우선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다. 산단에 산재한 부품소재-뿌리공정 산업 기반과 ICT 역량을 결집하게 된다. 핵심 부품 소재 업종별 뿌리공정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고, 대표·시범공장 및 공정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산단 유휴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공유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공유경제란 플랫폼 등을 활용해 자산·서비스를 타인과 공유해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는 경제 모델이다. 유휴설비가 있는 공장의 정보를 공유해 이를 필요로 하는 업체가 별도의 투자 없이 이 설비를 활용토록 하는 게 한 가지 예다. ICT가 접목된 공유경제를 도입하면 환경·안전·교통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근로자 삶의 질도 높일 수 있다.
반월·시화산단에 도입하려는 공유경제를 서비스 유형별로 보면 크게 △모빌리티 △시제품 제작 △공간 및 장비 △안전 및 환경 △지식정보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이 중 모빌리티는 우선 근로자의 출퇴근을 돕자는 것이다. 산업단지는 인근에 전철이 다니고 있지만 단지 내 대중교통은 불편하다. 자가용이 없으면 출퇴근하기 어렵다. 이를 출퇴근 카풀, 카셰어링, 통근버스, 공유자전거, 전동킥보드 등을 통해 해결해 보자는 것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공유경제의 핵심 가치인 ‘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라며 “입주 기업 대표와 근로자의 애로를 파악해 다양한 공유경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단지는 제조역량이 풍부한 곳이다. 이곳에 창업센터를 설치해 신산업이 지속 창출되는 곳으로 변신시키는 것도 중요한 실천 과제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종합 지원하는 공간을 구축할 계획이다. 신제품 개발이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선 시제품 제작이 중요하다. 시제품 제작 등의 온라인 제조 수요·공급 매칭을 돕는 시스템도 도입된다. 조병걸 경기반월시화스마트산단 사업단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치열한 글로벌 경쟁을 이겨내기 위해선 산업단지를 스마트하게 대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기존의 다양한 사업을 스마트산단이라는 큰 그림에 맞춰 함께 만들어 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