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조선시대 객사 '나주 금성관' 보물 승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객사 '나주 금성관' 보물 승격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조선시대에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둔 지방 관아 건물인 ‘나주 금성관’(사진)이 보물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29일 전남 나주시 도심에 있는 객사(客舍)인 전남유형문화재 제2호 나주 금성관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객사는 궐(闕)자를 새긴 궐패를 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멀리서 임금을 위해 행하는 의례인 망궐례(望闕禮)를 하고, 지방을 방문하는 관원을 접대한 공간이다. 나주 금성관은 1470년대에 나주목사 이유인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하지만 정확한 창건 연대는 파악되지 않았다.

전체적인 규모와 골격은 1671년 중건 당시 모습을 유지한 것으로 추정되며 목조 가구와 공포(지붕 하중을 받치기 위한 구조물)에서는 1775년과 1885년 중수했을 때 기법이 확인됐다. 기단인 월대(月臺)를 마련한 점과 외관과 내부 천장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인해 일반 객사와 달리 궁궐 정전을 연상시킨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성관 중심 건물인 정청은 조선시대 객사 건물 중 가장 크고, 팔작지붕이 얹혀 있다. 객사 정청에는 보통 맞배지붕을 사용한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